전남 해남. 옥매광산 118인 희생광부 추모비.
801지방도로변에 세워진 옥매광산 118인 희생광부 추모비 표시판.
일제강점기 국내 최대 강제동원.
옥매광산 2,5km를 가리키는 이정표를 따라 농로길을 들어가면 옥매광산 118인 희생광부 추모비에 다달은다.
옥매광산 118인 희생 광부 추모비.
소재지: 전남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414-3.
옥매광산은 일제가 군수품의 원료인 명반석(비행기 만드는데 쓰이는 알루미늄)을 얻기 위하여 개발한 곳으로 일제강점기 때 국내 강제동원 중 가장 큰 규모의 동원지로 알려져 있다.
해발 173미터였던 옥매산 봉우리는 깎여나가 협곡이 되었고 이어진 해안가에는 콘크리트로 지어진 명반석 저장창고가 아직도 원형을 유지한 채 남아있다.
전쟁의 말기에 이르러 이 지역의 광부들은 강제로 제주도로 끌려가 굴을 파는 일에 또 동원되었다.
1945년 8월 20일, 광복이 되자, 제주도에서 이들을 태우고 고향으로 돌아오던 도중에 배가 화재로 바다에 가라앉게 되었고, 약 118명의 광부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후 유가족들과 지역민들에 의해 이들의 넋을 기리는 118인 희생 광부 추모비를 세우고 추모제가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 사고의 현장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생존자는 김백운씨 한 분 뿐이라 한다.
- 옥매광산 안내판 -
명반석을 가공 저장했던 콘크리트 건물과 추모비 전경.
옥매광산 역사 이야기 안내판.
118인 희생광부 추모비와 합동 제단.
추모비와 옥매광산 안내판.
임이여 영원하라.
희생된 118인의 명단과 맨 아래에 생존자인 김백운 씨.
명반석을 가공 저장했던 콘크리트 건물.
건물 안의 터널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일반인은 출입금지로 되어있다.
무단 출입금지 경고문이 붙어있다.
건물 밖에서 본 내부의 일부.
건물 내부.
측면에서 본 건물.
건물 외부에서 본 옥매산 자락.
건물 외부의 콘크리트 기둥의 용도가 궁금하다.
명반석을 일본으로 실어내기 위해 사용했던 선착장.
희생광부 추모비 선착장에서 바라본 진도대교와 진도타워.
옥매광산.
소재지: 전남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1-11 (삼원길 74-28)
옥매산 기슭에 자리한 옥매광산은 희생광부 추모비에서 약 2km 가량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옥매광산 가건물.
옥매광산.
해남 옥석공예전시장.
소재지: 전남 해남군 황산면 옥동리 8-35 (명량로 976)
옥매광산에서 가까운 마을 옥동리에는 옥공예가 발달하여 옥공예 마을로 지정되어있다.
고려공예사.
옥공예 명인의 집, 명인 김육남씨가 운영하는 화신공예.
20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