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탐방

광주 남구. 필문 이선제 부조묘.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7호.

백산(栢山) 2022. 1. 10. 09:00

필문 이선제 부조묘
(畢門 李先齊 不祧廟)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7호.
(1990.11.15 지정)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구만산길 34 (원산동 535-1)
•문의: 광주 남구청 문화정책실 (062-607-2333, 2035)
 

 
 
 
필문 이선제 부조묘는 남구 원산동 만산마을에 있다.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을 기리어 신주를 영원히 제사지내도록 건립한 사당이다.
 
필문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공훈을 후세에 알리기 위한 필문 이선제 부조묘는 포충사 뒷쪽 산기슭에 있으나 원래 위치에서 50여 미터 왼쪽으로 옮겨온 것이다.
 
무등산 자락의 이름다운 풍광을 끼고 있어 고즈넉해 보이면서도 넉넉해 보이는 필문 이선제 부조묘는 지나치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한 지리적 위치에 있다.
 
필문 이선제 부조묘의 뒷산 언덕에 필문의 묘와 비가 있고 이곳에서 500미터 떨어진 도로변에 그의 신도비가 있다. 마을 앞에는 필문이 심은 괘고정수라 불리는 수령600년 된 왕버들 노거수가 있어 유서 깊은 이곳의 역사를 상상케 한다. 광주시 기념물24호로 지정된 괘고정수는 이선제 선생이 심었다고 한다.
 
선생의 후손들이 과거에 급제하면 이 나무에 북을 걸어 놓고 잔치를 벌였다고 하여 괘고정수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광주시 민속자료 제7호인 필문 이선제 부조묘는 정면3칸 측면1칸에 앞마루를 둔 맞배지붕이다. 막돌 초석 위에 정면만 민흘림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웠다. 마루 밑은 호박돌 위에 동바리 기둥으로 처리하여 바람이 잘 통하도록 밑벽막이 없어 개방하였다.
 
문은 쌍여닫이문으로 띠살문이며 겹처마이다. 고설삼문과 양측으로 맞담위에 기와를 얹은 담을 돌렸다. 단아하고 정갈해 보이는 그 모습은 이선제 선생을 기리는 사당으로써의 본 모습을 잘 드러내고 있다.
 
필문은 1390년 광주광역시 남구 이장동에서 태어났다. 필문의 휘는 선제, 자는 가부이며 필문은 그의 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양촌 권근의 휘하에서 수학했고 1411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관직에 30년 동안 몸담았다고 한다.
 
광주에 필문로라는 거리가 있다. 이선제 선생을 기리기 위해 1988년 필문로가 제정되었다. 당시 광주가 무진군으로 강등된 것을 광주목으로 승격시키는데 공을 세웠고 지금의 일고 자리에 희경루를 짓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인재 발굴을 위해 젊은 선비 30인을 뽑아 강학의 학풍을 일으켰으며 "광주향약"이라 불리는 광주 최초의 실질적인 향약도 실시했던 분이다. 또한 학문에 조예가 깊어 태종실록 편찬과 고려사 개찬에 4번이나 참가했으며 각종 경찬소문(慶讚疏文)을 짓기도 했다.
 
필문은 1453년에 서울에서 돌아가신 후 이듬해 봄 상여로 광주 만산동으로 옮겨 할아버지 무덤 옆에 안치했다. 그러나 묘지명이 도굴범에 의해 일본으로 반출되려다 공항에서 문화재 검사에 발각되어 생졸 연대가 밝혀졌다. 필문은 판사를 지낸 선윤지의 여식을 아내로 삼아 5남1여를 두었다.
 
장남 이시원과 5남 이형원이 문과에 급제하였으면 이후 필문가문은 5대손인 이발, 이길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과거급제자를 내며 명문가문으로 이름을 떨쳤다. 필문의 저술은 매우 많았으나 기축옥사로 소실되고 남아서 전하는 것이 없다. 후대에 만들어진 수암지와 왕조실록에 산견되는 자료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출처: 광주관광 이야기 -

 
 
 

창학문(倡學門)
 
 
 

민속자료 제7호
필문 이선제 부조묘 비.
 
 
 

의연비(義捐碑)
 
 
 

필문 이선생 부조묘정비역문.
 
 
 

창학문.
 
 
 

필문 이선제 부조묘 안내문.
 
 
 

부조묘.
 
 
 

부조묘 현판.
 
 
 

필문 이선생 신도비.
 
 
 

유적비림.
 
 
 

성심당 이선생 표충비.
 
 
 

세심당 이선생 유적비.
 
 
 

청심당 이선생 유적비.
 
*청심당 이선생의 이름은 이조원이며 이선제 선생의 세째 아들입니다.
 
 
 

예문관제학 이선생 유적비.
 
 
 

양심당 이선생 유적비.
 
 
 

왕버들 보호수.
 
 
 

보호수 안내문.
 
 
 

보호수.
 
 
 

보호수 아래부분.
 
 
 
*다녀온 날: 2021년 11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