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교비 2

전남 나주. 나주 금성관(羅州 錦城館) 전남 유형문화재 제2호

망화루(望華樓) 나주 금성관(羅州 錦城館) 정문.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나주목사 이유인이 건립한 관청.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호. (1972.01.29.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나주시 금성관길 8. 이 건물은 나주목의 객사 건물로 매월 1일과 15일에 국왕에 대한 예를 올리고 외국 사신이나 정부 고관의 행차가 있을 때 연회를 열었던 곳이다. 초창은 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나주목사로 재직한 이유인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4칸, 팔각지붕의 320.66m²(97평) 건물로 전국의 객사 건물 중 그 규모가 가장 웅장하다. 일제강점기 이후 군청 건물로 사용해 오면서 원형이 파괴되어 1976년에서 197..

문화재 탐방 2024.05.20

전남 나주. 금성관(錦城館)

나주 금성관 출입문 망화루. 명칭: 나주 금성관(羅州 錦城館) 종목: 시도유형문화재 2 지정: 1972. 01. 29. 2013년 9얼 22일. 전남 나주시 과원동 109-5. 나주 금성관(羅州 錦城館). 나주 금성관은 조선 성종 6∼10년(1475∼1479) 사이에 나주목사 이유인이 세웠다 한다. 일제시대에는 내부를 고쳐 청사로 사용했던 것을 1976년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면 5칸. 옆면 4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며, 칸의 넓이와 높이가 커서 위엄이 느껴진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성관의 정문인 2층 짜리 망화루도 함께 만들었으나 지금은 ..

문화재 탐방 2013.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