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을 따라

전남 장흥. 기양사(岐陽祠)

백산(栢山) 2016. 11. 5. 09:00

 

장흥 기양사(岐陽祠)

 

전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07호.
지정일: 1999년 2월 26일.


 

전남 장흥군 안양면 동계길 33-26.

 

 

관서별곡의 백광홍을 배향한 기양사(岐陽祠)!


장흥 사자산 아래의 세 마을은 기산마을, 동계마을, 비동마을. 그 중 가운데에 있는 동계마을에는 기양사(岐陽祠)라는 사원이 있다. 이곳은 가사문학으로 널리 알려진 담양의 소쇄원에 버금가는 의미를 가진 곳이다.

 

조선 8대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가사문학의 효시인 관서별곡을 남기는 등 가사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기봉 백광홍(1522~1556)선생을 배향하고 있는 기양사(岐陽祠) 그동안 가사문학이라고 하면 관동별곡을 떠올렸고, 송강 정철을 떠올렸다.

 

그러나 백광홍 선생의 관서별곡은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보다 25년을 앞서 불려지고 두 선생간에 교류가 있었으며 정철이 백광홍 선생의 영향을 받았다고 학자들은 평가하고 있다.

 

이 기양사(岐陽祠)에는 문인 13인을 모시고 있는데 문학을 공부하는 분들에게는 더욱 의미 있음직한 곳으로 한번쯤은 가볼 만하다.

 

 

- 웹사이트 -

 

 

기봉 백광홍선생 신도비.

 

 

기양강당(岐陽講堂)

 

 

기양강당 현판.

 

 

장흥 기양사 '선시보주' 안내문.

 

 

동광문(내삼문)

 

 

기양사(岐陽祠)

 

(1999년 2월26일 전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07호이며 고려 말 대제학 精愼齋公을 주벽으로 13현을 배향하는 기양사 신실 기양사의 판액은 당시 국무총리 金鍾必님이 직접 쓴 글씨임)

 

 

기봉 백광홍선생 관서별곡 비.

 

 

기양사 13현의 위패석.

 

 

기양사 13현 안내문.

 

 

경연대(慶宴臺)(일명: 文章臺)

 

 

경연대(慶宴臺)(일명: 文章臺)

 

水原 白氏 參判公 諱 繪의 아들 四兄弟가 함께 進士에 登科함에 이를 慶祝하기 위해 土築하고 慶宴을 베풀었던 곳으로 그 후  한 마을 안 三家에서 八文章, 輩出로 역시 이곳에서 慶 宴을 베풀었으니 文章臺라고도 함.

 

마을 民俗놀이터로 이어오다 지금은 私有化되고 그 遺址에 白氏 門中에서 세운 慶宴臺 碑가 옛 흔적을 전하고 있다.

 

 

기봉 백광홍선생문화인물선정기념비(左)와 국가문화재보물1664호 지정 기념비(右)

 

 

기봉 백광홍선생문화인물선정기념비.

 

 

풍아익선시13책국가문화재보물1664호 지정 기념비.

 

 

*2016년 09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