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207

전남 진도. 쌍계사(雙溪寺) 전남 유형문화재 제121호.

진도 첨찰산 쌍계사 일주문. 쌍계사는 경남 하동의 쌍계사가 유명한데 전남 진도에도 천년 고찰 쌍계사가 운림산방 옆에 자리하고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 (1985.02.25)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299-30 (의신면) 진도 첨찰산(尖察山) 기슭에 자리한 쌍계사(雙溪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本寺) 대흥사의 말사(末寺)로서 857년(신라 문성왕 19)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하였다. 절집 양옆으로 시냇물이 흘러 쌍계사라 불렀다고 하며, 1648년(조선 인조 26) 의웅(義雄)이 중건하였다. 1677년(숙종 23) 대웅전을 세웠으며, 1695년에는 시왕전(十王殿)을 중건했다. 1880년 의 저자인 각안(覺岸: 1820∼1896)이 머물며 동산(東山). 지..

한국의 사찰 2024.09.27

전남 진도. 용장사(龍藏寺) 유형문화재 제17호.

용장사 도량에 세워진 오층 석탑과 석등.뒤로 용장사 대웅전(극락전)이 보인다.  용장사(龍藏寺) *소재지: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산90.   고려 무신정권 때의 장수 배중손(裵仲孫 ?~1271)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진도 용장산성(龍藏山城, 사적 제126호) 내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용장사(龍藏寺)의 터이다. 용장산성의 건물 터 초석의 형식 등으로 보아 삼별초가 이곳에 들어오기 전에 이미 용장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용장성 성내에 용장사지(龍藏寺址)와 행궁지(行宮址)가 남아 있다.*  1756년(영조 32) 김몽규(金夢奎 1694~1775)가 편찬한 진도군 읍지인 와 를 근거로 용장사는 고려 태조 때의 후진국(後晋國) 고왕(高王, 재위 936~943) 때 또는..

한국의 사찰 2024.09.11

충남 서산. 간월암(看月庵) 충남 유형문화재 제184호.

서산 간월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소재지: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간월암(看月庵)은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암자로서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만공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간월암은 다른 암자와는 달리 간조시에는 뭍과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암자처럼 느껴진다. 밀물과 썰물은 6시간마다 바뀌며, 주위 자연경관과 고찰이 어우러져 관광객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간월암에 소장된 문화재로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인 목조보살좌상은 양식적으로 볼 때 1600년 전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규모가 작은 삼존불상의 협시보살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갸름한 타원형의 얼굴에 높이 ..

한국의 사찰 2024.08.30

전남 영광. 불갑사(佛甲寺) 보물 제830호.

불갑사 일주문.  불갑사 대웅전.보물 제830호. (1985.01.08) 불갑사는 백제 침류왕 원년(384)에 인도승 마라난타가 세웠다는 설과 무왕 때 행은 스님이 세웠다는 설이 있으나 세운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주소: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8 (불갑사로 450)    불갑사 안내도와 안내문.   탑원.   탑원 안내문.   불갑사 금강문.   천왕문.   사천왕상.   사천왕상.   수다라성보관.   불광보조라는 현판이 붙은 만세루.   만세루.   불갑사 대웅전. 보물 제830호.(1985.01.08)  석가모니 불상을 모셔 놓은 법당인 대웅전은 18세기 이전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기와 가운데 '건륭 29년(乾隆二十九年)'이라고 쓴 것이 발견되어 조선 영조 40년(1764)에 고..

한국의 사찰 2024.08.07

전남 강진. 무위사(無爲寺) 극락보전, 국보 제13호.

월출산 무위사 일주문.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74. *지난 2월 4일에 무위사 홍매화를 촬영하여 올린 분이 있어서 필자는 2월 11일에 무위사를 찾았더니 현장의 홍매화는 소문과 달랐다. 무위사(無爲寺) 월출산 동남쪽에 있는 사찰(절)로써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무위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대흥사의 말사로, 남도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월출산 남쪽기슭에 자리한 천년고찰이다. 617년(신라 진평왕39)에 원효대사(元曉大師,617~686)가 창건한 절집으로 처음의 이름은 관음사(觀音寺)였다. 875년(헌강왕1)에는 도선국사(道詵國師,827~898)가 갈옥사(葛屋寺)로 중창했고, 고려 태조 왕건의 요청과 후원을 받아 '905년(신라 효광왕9)에 가지산문계의 선각국..

한국의 사찰 2024.03.04

전남 나주. 죽림사(竹林寺)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92호.

죽림사 일주문. 죽림사 극락보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92호. *주소: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죽림길 255. (남평읍 풍림리 산1번지) 죽림사는 백제 비유왕 24년(440)경 아도화상이 세웠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발견된 사리와 청동불두로 보아 통일신라 이전이나 같은 시대로 추정할 수 있다. 지금은 극락보전, 영산전, 청향각, 삼성전 등이 있다.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 안쪽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천장 속을 가리고 있는 우물천장이며,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죽림사 표지석과 부도탑. 왕생루..

한국의 사찰 2024.02.09

전남 무안. 전남 문화재자료 제85호. 원갑사(圓甲寺)

무안 원갑사(圓甲寺) 대웅전(大雄殿)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85호. *주소: 전남 무안군 해제면 산길로 266-27 (산길리 676) 무안. 원갑사(圓甲寺) 조계종 22교구 대흥사 말사. 원갑사(圓甲寺)는 전남 영광의 불갑사, 영암의 도갑사와 더불어 3갑사라고 불린다. 《문화유적총람》에 따르면 신라 제43대 해공왕(765~780년) 때 65대 의상대사가 건립하였다고 하나 정확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원갑사에는 강산사에 대한 현판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데, 이 내용에 따르면 오래된 절이 무너지자 신도들이 중수하기 위해 돈을 모았는데 목우암의 신도들이 이야기를 듣고 도와 1908년에 다시 세웠다고 쓰여 있다. 에 강산사가 있다고 기록되어있고 에도 원갑사가 강산에 있다고 쓰여진 것으로 볼 때 이름이 강산사였다..

한국의 사찰 2023.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