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른색 동그라미 아이콘을 클릭 하셔요.
⊙ 아비규환(阿鼻叫喚) | ⊙ 아수라장(阿修羅場) | ⊙ 안도(安堵) |
⊙ 안서(雁書) | ⊙ 안자지어(晏子之御) | ⊙ 안중지정(眼中之釘) |
⊙ 암중모색(暗中摸索) | ⊙ 야단법석(野壇法席) | ⊙ 야합(野合) |
⊙ 약롱중물(藥籠中物) | ⊙ 양금택목(良禽擇木) | ⊙ 양두구육(羊頭狗肉) |
⊙ 양상군자(梁上君子) | ⊙ 양약고구(良藥苦口) | ⊙ 양포지구 (楊布之狗) |
⊙ 양호유환(養虎遺患) | ⊙ 어부지리(漁父之利) | ⊙ 엄이도령(掩耳盜鈴) |
⊙ 여도지죄(餘桃之罪) | ⊙ 여산진면(廬山眞面) | ⊙ 여세추이(與世推移) |
⊙ 역린(逆鱗) | ⊙ 연리지(連理枝) | ⊙ 연목구어(緣木求魚) |
⊙ 오리무중(五里霧中) | ⊙ 오손공주(烏孫公主)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 오월동주(吳越同舟) | ⊙ 오유선생(烏有先生) | ⊙ 오합지졸(烏合之卒) |
⊙ 옥석혼효(玉石混淆) | ⊙ 온고지신(溫故知新) | ⊙ 와각지쟁(蝸角之爭) |
⊙ 와신상담(臥薪嘗膽) | ⊙ 완물상지(玩物喪志) | ⊙ 완벽(完璧) |
⊙ 요령부득(要領不得) | ⊙ 요동지시(遼東之豕) | ⊙ 요원지화(燎原之火) |
⊙ 우공이산(愚公移山) | ⊙ 우도할계(牛刀割鷄) | ⊙ 운용지묘(運用之妙) |
⊙ 운우지정(雲雨之情) | ⊙ 운주유악(運籌유幄) | ⊙ 원입골수(怨入骨髓) |
⊙ 월하빙인(月下氷人) | ⊙ 월단평(月旦評) | ⊙ 옥상가옥(屋上架屋) |
⊙ 위편삼절(韋編三絶) | ⊙ 유능제강(柔能制剛) | ⊙ 유지경성(有志竟成) |
⊙ 은감불원(殷鑑不遠) | ⊙ 음덕양보(陰德陽報) | ⊙ 읍참마속(泣斬馬謖) |
⊙ 의심암귀(疑心暗鬼) | ⊙ 이관규천(以管窺天) | ⊙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
⊙ 이목지신(移木之信) | ⊙ 이심전심(以心傳心) | ⊙ 이전투구(泥田鬪狗) |
⊙ 이판사판(理判事判) | ⊙ 인생조로(人生朝露) | ⊙ 일거양득(一擧兩得) |
⊙ 일망타진(一網打盡) | ⊙ 일명경인(一鳴驚人) | ⊙ 일모도원(日暮途遠) |
⊙ 일사천리(一沙千里) | ⊙ 일엽지추(一葉知秋) | ⊙ 일이관지(一以貫之) |
⊙ 일일삼추(一日三秋) | ⊙ 일의대수(一衣帶水) | ⊙ 일자천금(一字千金) |
⊙ 일전쌍조(一箭雙雕) | ⊙ 일패도지(一敗塗地) | ⊙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
⊙ 자포자기(自暴自棄) | ⊙ 장수선무(長袖善舞) | ⊙ 재고팔두(才高八斗) |
⊙ 전가통신(錢可通神) | ⊙ 전거후공(前倨後恭) | ⊙ 전전긍긍(戰戰兢兢) |
⊙ 전전반측(輾轉反側) | ⊙ 전차복철(前車覆轍) | ⊙ 전화위복(轉禍爲福) |
⊙ 절영지회(絶纓之會) | ⊙ 절차탁마(切磋啄磨) | ⊙ 절함(折檻) |
⊙ 정신(挺身) | ⊙ 점입가경(漸入街境) | ⊙ 정중지와(井中之蛙) |
⊙ 제궤의혈(堤潰蟻穴) | ⊙ 조강지처(糟糠之妻) | ⊙ 조로지위(朝露之危) |
⊙ 조령모개(朝令暮改) | ⊙ 조삼모사(朝三暮四) | ⊙ 조명시리(朝名市利) |
⊙ 조장(助長) | ⊙ 존망지추(存亡之秋) | ⊙ 종남첩경(終南捷徑) |
⊙ 종선여류(從善如流) | ⊙ 종용유상(從容有常) | ⊙ 좌단(左袒) |
⊙ 좌우명(座右銘) | ⊙ 주공삼태(周公三笞) | ⊙ 주마등(走馬燈) |
⊙ 주지육림(酒池肉林) | ⊙ 죽마고우(竹馬故友) | ⊙ 준조절충(樽俎折衝) |
⊙ 중과부적(衆寡不敵) | ⊙ 중구난방(衆口難防) | ⊙ 중석몰촉(中石沒鏃) |
⊙ 중원축록(中原逐鹿) | ⊙ 중취독성(衆醉獨醒) | ⊙ 증삼살인(曾參殺人) |
⊙ 지록위마(指鹿爲馬) | ⊙ 지상담병(紙上談兵) | ⊙ 지어지앙(池魚之殃) |
⊙ 지음(知音) | ⊙ 지초북행(至楚北行) | ⊙ 지피지기(知彼知己) |
⊙ 직정경행(直情徑行) | ⊙ 진충보국(盡忠報國) | ⊙ 질풍경초(疾風勁草) |
⊙ 징갱취제(懲羹吹제) | ⊙ 징전비후(懲前毖後) | |
⊙ 차래지식(嗟來之食) | ⊙ 차재두량(車載斗量) | ⊙ 창해일속(滄海一粟) |
⊙ 천고마비(天高馬肥) | ⊙ 천금매소(千金買笑) | ⊙ 천려일실(千慮一失) |
⊙ 천리안(千里眼) | ⊙ 천도시비(天道是非) | ⊙ 천애해각(天涯海角) |
⊙ 천의무봉(天衣無縫) | ⊙ 천재일우(千載一遇) | ⊙ 철면피(鐵面皮) |
⊙ 철부지급(轍부之急) | ⊙ 철옹성(鐵甕城) | ⊙ 철중쟁쟁(鐵中錚錚) |
⊙ 청담(淸談) | ⊙ 청운지지(靑雲之志) | ⊙ 청출어람(靑出於藍) |
⊙ 청천백일(靑天白日) | ⊙ 청천벽력(靑天霹靂) | ⊙ 초미지급(焦眉之急) |
⊙ 촌철살인(寸鐵殺仁) |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 축록자불견산 |
⊙ 춘추필법(春秋筆法) | ⊙ 출이반이(出爾反爾) | ⊙ 취모멱자(吹毛覓疵) |
⊙ 추기급인(推己及人) | ⊙ 치인설몽(癡人說夢) | ⊙ 칠거지악(七去之惡) |
⊙ 칠보지재(七步之才) | ⊙ 칠종칠금(七縱七擒) | ⊙ 침어낙안(沈魚落雁) |
⊙ 쾌도난마(快刀亂麻) |
⊙ 타면자건(唾面自乾) | ⊙ 타산지석(他山之石) | ⊙ 타초경사(打草驚蛇) |
⊙ 탐천지공(貪天之功) | ⊙ 태공망(太公望) | ⊙ 태두(泰斗) |
⊙ 태산북두(泰山北斗) | ⊙ 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 | ⊙ 토사구팽(兎死狗烹) |
⊙ 토포악발(吐哺握髮) | ⊙ 퇴고(堆敲) | ⊙ 투필종융(投筆從戎) |
⊙ 파경(破鏡) | ⊙ 파과지년(破瓜之年) | ⊙ 파렴치(破廉恥) |
⊙ 파부침선(破釜沈船) | ⊙ 파죽지세(破竹之勢) | ⊙ 파천황(破天荒) |
⊙ 파탄(破綻) | ⊙ 평지풍파(平地風派) | ⊙ 패군지장(敗軍之將) |
⊙ 포류지자(蒲柳之姿) | ⊙ 포신구화(抱薪救火) | ⊙ 포정해우(포丁解牛) |
⊙ 포호빙하(暴虎憑河) | ⊙ 풍마우불상급(風馬牛不相及) | ⊙ 풍성학려(風聲鶴戾) |
⊙ 풍수지탄(風樹之嘆) | ⊙ 필부지용(匹夫之勇) |
⊙ 하로동선(夏爐冬扇) | ⊙ 한단지몽(邯鄲之夢) | ⊙ 한단지보(邯鄲之步) |
⊙ 한발(旱魃) | ⊙ 한우충동(汗牛充棟) | ⊙ 항룡유회(亢龍有悔) |
⊙ 항산항심(恒産恒心) | ⊙ 함흥차사(咸興差使) | ⊙ 해어화(解語花) |
⊙ 해로동혈(偕老同穴) | ⊙ 행백리자 반구십 | ⊙ 행불유경(行不由徑) |
⊙ 혁명(革命) | ⊙ 형처(荊妻) | ⊙ 형설지공(螢雪之功) |
⊙ 혜전탈우(蹊田奪牛) | ⊙ 호가호위(狐假虎威 ) | ⊙ 호구지계(狐丘之戒) |
⊙ 호사유피인사유명 | ⊙ 호시탐탐(虎視耽耽) | ⊙ 호연지기(浩然之氣) |
⊙ 호접지몽(胡蝶之夢) | ⊙ 호중지천(壺中之天) | ⊙ 홍일점(紅一點) |
⊙ 화룡점정(畵龍點睛) | ⊙ 화서지몽(華胥之夢) | ⊙ 화씨지벽(和氏之璧) |
⊙ 화촉(華燭) | ⊙ 화호유구(畵虎類狗) | ⊙ 환골탈태(換骨奪胎) |
⊙ 회벽유죄(懷璧有罪) | ⊙ 회자(膾炙) | ⊙ 효빈(效嚬) |
⊙ 효시(嚆矢) | ⊙ 효학반(斅學半) | ⊙ 후목분장(朽木糞牆) |
⊙ 후생가외(後生可畏) | ⊙ 흉유성죽(胸有成竹) | ⊙ 희생(犧牲) |
⊙ 해옹호구(海翁好鷗) | ⊙ 회사후소(繪事後素) | ⊙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
⊙ 학철부어 |
출처: 웹사이트
'고전 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유두 (0) | 2011.07.15 |
---|---|
강강수월래 유래 (0) | 2011.06.25 |
고사성어 모음(1) (0) | 2010.07.21 |
속담과 관련된 고사성어 (0) | 2010.07.19 |
가족 호칭과 촌수 (0) | 201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