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전남 화순. 쌍봉사(雙峰寺)

백산(栢山) 2016. 4. 1. 09:30

 

쌍봉사자문(일주문)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신라 경문왕 때 철감선사(澈鑒禪師)가 중국에서 귀국하여 산수의 수려함을 보고 창건하였다. 철감선사의 법력과 덕망이 널리 퍼지자 왕이 궁중으로 불러 스승으로 삼았다고 하며, 창건주 철감선사의 도호(道號)가 쌍봉이었으므로 사찰명을 쌍봉사라 하였다고 한다.

 

847년(문성왕 9)에 귀국한 철감선사는 이 절에서 선문9산의 하나인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이곳에서 그의 종풍(宗風)을 이어받은 징효(澄曉)가 영월의 흥녕사(興寧寺)에서 사자산문을 개산(開山)하게 되었다.

 

창건 이후 퇴락한 절을 1081년(문종 35)에 혜소국사(慧昭國師)가 창건 당시의 모습대로 중건하였고, 공민왕 때 전라도관찰사 김방(金倣)의 시주로 중창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절의 땅을 면세해 주었으며,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뒤 1628년(인조 6)에 중건하였고, 1667년(현종 8)과 1724년(경종 4)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국보 제57호인 철감선사탑과 보물 제170호인 철감선사탑비가 있고, 보물 제163호였던 대웅전이 있었다. 철감선사탑은 우리 나라 석조 부도 중 가장 기묘하고 아름다운 우수한 작품이라고 하며, 868년(경문왕 8)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철감선사탑비는 신라 말 작품으로 비신은 없어지고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만 남아 있으나, 그 조각의 우아함은 당대의 명작이다.

 

대웅전은 1962년 해체공사 때 3층 중도리에서 1690년(숙종 16)의 두번째 중건에 이어 1724년에 세번째 중건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 상량문이 나왔다. 그리고 최근까지 대웅전으로 사용되었던 3층각은 원래 대웅전 건물이 아닌 탑이었다고 전한다.

 

총 높이 12m의 정방형 3층 건물인 이 대웅전은 상륜부를 제외하고는 우리 나라에서 3층목탑의 모습을 전하고 있는 유일한 건물이었으나, 1984년 4월 초에 촛불로 인한 실화로 소진되었다. 이 밖에도 이 절에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6호인 극락전과 명부전·요사채 등의 당우들이 있다.

 

 

- 백과사전 -

 

 

천왕문.

 

 

동방지국천왕(左)과 남방증장천왕(右)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은 비파를 안고 있고,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은 긴 칼을 쥐고 있다.

 

 

서방광목천왕(左)과 북방다문천왕(右)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은 뱀을 움켜쥐고 있고 북방다문천왕(北方多問天王)은 긴창을 쥐고있다.

 

 

대웅전 전경.

 

대웅전이 3층 구조의 탑과 같은 형상이며 대웅전 불당이 겨우 한 사람이 들어가 참배할 정도로 규모가 협소한 것이 특이하다.

 

 

대웅전.

 

 

대웅전 아미타불.

 

 

호성전(護聖殿)

 

 

조주종심선사진영         &        철감도윤선사진영.

 

 

극락전.

 

 

극락전 삼존불.

 

 

나한전.

 

 

나한전 불상.

 

 

지장전.

 

 

지장보살.

 

 

철감선사 탑비.

 

 

철감선사 부도탑.

 

 

범종각.

 

 

공양간과 요사채.

 

 

탐방: 2016년 3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