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산사(柄山祠)
무안박씨 사우.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17호.
(지정일: 2020년 12월 21일 / 창건연대: 1778년)
*주소: 전남 무안군 무안읍 고절리 1037-10.
(경기묘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다.)
무안군 무안읍 고절리에 위치한 병산사(柄山祠)는 정조2년(1778) 풍정(楓亭) 박의룡(朴義龍)을 제향하기 위해 창건한 사우로, 순조29(1829)에 애한정(愛閑亭) 박익경(朴益卿), 암천(岩川) 박증(朴增), 초정(草亭) 박응선(朴應善)을 추배(追配)하였다.
고종5년(1868) 서원훼철령에 의해 훼철된 후, 고종28년(1891)에 기존 부지에 유허비를 건립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단을 만들어 제향해오다가 해방이후인 1946년 현 위치에 사우를 복설하였고, 1961년 죽포(竹圃) 박기종(朴淇鍾)을 추배하였다.
- 무안군청 -
병산사 삼문.
삼문이 잠겨있어 우측 담벽을 타고 돌아가니 병산사로 들어설 수 있었다.
병산사(柄山祠)는 무안박씨의 문중사우로 18세기 후반 동족마을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무안박씨는 무안지역에 현전하는 유일한 土姓이다.
무안박씨의 단초는 고려 때 朴進昇으로부터 연원한다. 이후 무안박씨 후손들이 무안읍ㆍ청계면ㆍ현경면 등에 입향하여 동족마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문중적 기반을 바탕으로 정자, 효자각 등이 건립되고 문중사우인 병산사 설립으로 연결된다.
병산사 건립은 후손들을 중심으로 무안박씨 遠祖, 入鄕祖, 顯祖, 派始祖 등이 배향되었다.
병산사는 토지를 희사 받거나 매득하여 경제적 기반을 구축해 나갔으며, 교육장소, 문중회의 장소, 사림들과의 교유장소 등의 기능을 하였다.
- 무안 역사문화 자료관 -
담벽을 지나 병산사로 들어선 입구.
병산사(柄山祠)
병산사(柄山祠)
병산사(柄山祠) 현판.
병산사 유허비.
병산사(柄山祠)
병산사에서 바라본 삼문.
*2023년 6월 11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무안. 강화노씨. 충신각(忠臣閣) 향토문화유산 제19호. (115) | 2023.08.02 |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18호. 태봉사(台峯祠) (107) | 2023.07.31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16호. 경기묘(景基廟) (127) | 2023.07.26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15호. 삼왕묘(三王廟) (107) | 2023.07.24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14호. 송백정(松栢亭) (156)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