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쓰는 법 | |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할 수 있다. 사진이 없을 경우 지방으로 대신한다. | |
*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크기는 22cm*6cm로 한다. | |
* 남자 지방의 경우 중간에 학생(學生)이라고 쓰며, 벼슬이 영의정이라면 그대로 | |
(정일품 영의정) 이라고 학생 대신에 쓰면 된다. | |
부인의 경우는 보통 유인(孺人) 이라고 쓰나 이 경우는 孺人 대신 정경부인(貞敬夫人) 이라고 쓰면 된다. | |
* 남자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고하고 사후에는 考라고 한다. | |
여자의 경우 비 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 라고 하며 사후에는 비라고 한다. | |
* 여자의 경우 孺人 다음에 본관 성씨를 쓴다. | |
* 양위 지방일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 우측에 여자 지방을 쓴다. | |
삼위의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지방 중앙에 본비의 지방 우측에 후처의 지방을 쓴다.
| |
* 지방 견본을 예시하였으니 참고하시고 녹색 부분만 해당 성씨로 고쳐 쓰시면 됩니다.
| |
※ 축문 쓰는 법 축문은 神 앞에 고하는 글이며, 그 내용은 제위 분께 간소하나마 제수를 차렸으니 흠향 하시라는 뜻을 담습니다.
그러므로 요즘에는 한문의 뜻을 풀이하여 알기 쉽게 한글로 쓰기도 합니다. 축문의 규격은 가로 24cm, 세로 36cm 의 깨끗한 백지에 씁니다. 벼슬이 있을 때의 호칭은 지방을 쓸 때와 같습니다. 學生대신에 관직명으로, 그 부인은 孺人(유인)대신에 貞敬夫人(정경부인)등을 씁니다. 명절에 지내는 차례에는 축문을 쓰지 않습니다. | |
한문 축문의 예(부친 제사)
초록색 부분은
고쳐 쓰도록 한다 | |
☆ 한글 축문의 예
☆ 축문 쓸 때 알아두어야 할 점 ◑ 維(유) ; 이어서 내려오다. ◑ 歲次(세차) ; 해의 차례. ◑ 干支(간지) ; 간지는 천간 지지 육십갑자의 그 해의 태세를 쓴 것이며 그 예로 금년이 丁丑 (정축)년이면 丁丑 (정축)이라고 씁니다. ◑ 某月(모월) ; 제사 날을 따라 쓰며 제사 달이 정월이면 正月 8월이면 八月(팔월)이라 씁니다. ◑ 干支朔(간지삭) ; 제사 달의 초하루라는 뜻으로 제사 달 초하루의 일진을 씁니다. 예를 들면 초하루 일진이 丁亥 (정해)이면 丁亥朔 (정해삭)이라 씁니다. ◑ 某日(모일) ; 제사 날을 쓴 것이며 제사 날이 15일이면 그대로 十五日(십오일)로 씁니다.
◑ 干支(간지) ; 그 제사 날의 일진을 씁니다. 예를 들면 15일이 제사 날이고, 15일의 일진이 甲子(갑자)이면 甲子(갑자)라고 씁니다.
◑ 敢昭告于(감소고우) ; 삼가 밝게 고한다는 뜻으로 妻喪 (처상)에는 敢(감)자를 버리고 昭告于(소고우)만 쓰며, 아우 이하는 다만 告于(고우)만 씁니다.
◑ 예제 축문은 양친이 별세한 경우 부친 제사의 축문이며, 모친제사의 경우에는,
청색 글의 顯考(현고)를 顯비(현비,비: 죽은 어미 비字)로 고쳐 씁니다. ◑ 부부 중 한쪽이 살아 계신 때에는 顯考學生府君 (현고학생부군) 혹은 顯비孺人ooo氏 (현비유인ooo씨)중 한쪽을 쓰지 않습니다.
◑ 조부모 제사의 경우는 顯考(현고)를 顯祖考(현조고), 顯비(현비)를 顯祖비(현조비)로 고쳐 씁니다.
◑ 증조부모 제사의 경우는 顯考(현고)를 顯曾祖考(현증조고), 顯비 (현비)를 顯曾祖비(현증조비)로 고쳐 씁니다.
◑ 고조부모 제사의 경우 顯考(현고)를 顯高祖考(현고조고), 顯비(현비)를 顯高祖비(현고조비)로 고쳐 씁니다. ◑ 孝子이름은 겸양의 표현으로 조금 작게 씁니다. |
'고전 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과 관련된 고사성어 (0) | 2010.07.19 |
---|---|
가족 호칭과 촌수 (0) | 2010.07.10 |
한자 고사성어 찾는 프로그램 (0) | 2010.07.02 |
중국 왕조 변천사 (0) | 2010.06.21 |
속담과 관련된 고사성어 (0) | 201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