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학 3

전남 무안. 화설당(花雪堂) 전남 문화재자료 제271호.

무안 화설당(務安 花雪堂)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71호.(2009.03.20. 지정)  화설당(花雪堂)은 문화류씨 류운(柳運)이 1610년경에 건립한 정자이다.    전남 무안군 청계면 사마리 434-3 (화설당길 10)    무안 화설당 안내문.  무안 화설당(務安 花雪堂)은 류운(柳運, 1580~1643)이 1610년경에 건립했는데, 명칭은 1612년 겨울에 나주목사(羅州牧使) 남곽 박동렬(1564-1622)이 수은(睡隱) 강항(姜沆)(1567-1618)과 찾아와 겨울인데도 동백꽃이 있어서 화설(花雪)이라 하고 시(詩) 1수를 남긴 데서 연유한다.  강항(姜沆)은 화설당기(花雪堂記)를 남기며, 송시열(1607~1689)이 판액을 썼다. 1728년, 1869년에 중수하였다. 건축 구성에 있어서도 다른 ..

문화재 탐방 2019.08.29

전남 담양. 수남 학구당(水南 學求堂)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호.

담양. 수남 학구당(水南 學求堂)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호.(1984.02.29)    다녀온 날: 2019년 7월 28일.  전남 담양군 고서면 봉황동길 38-75 (분향리 1)   수남 학구당 안내문.  수남 학구당(水南 學求堂)은 창평 학구당이라고도 불리며 유교 사회적 기풍을 진작시키기 위한 인재를 양성하던 곳이다.  이 당(堂)의 근원은 원래 고려 말에 건립된 향적사(鄕績寺)라는 것이었으나, 조선이 건국되면서 척불정책(斥佛政策)에 의하여 폐사(幣寺)의 경지에 이르자 승려들이 모두 흩어지게 되었다. 이에 환학당(換學堂)이란 스님이 승려들을 다시 불러들여 강학(講學)하였으므로 후일(後日) 그의 제자들이 환학의 뜻을 받들어 학구당이라 이름하였다.  조선 선조 3년(1570)에는 창평에 살고 ..

문화재 탐방 201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