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장서원 2

전남 영광. 묘장영당(畝長影堂) 전남 문화재자료 제249호.

영광. 묘장영당(靈光. 畝長影堂)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9호 (2004년 2월 13일)  묘장서원(畝長書院) 또는 영당사(影堂祠)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의 개국공신인 양도공 이천우(李天祐 1354∼1417)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1616년에 건립되었다.    *주소: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동삼로 1길 21.    영광 묘장영당 안내문.  조선조 태종은 1416년 이천우가 퇴직할 때 그 공적을 치하하여 화공으로 하여금 이천우의 화상(畵像)과 이응도(二鷹圖)를 그리게 했는데 그것이 후에 묘장영당을 건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서, 여말선초의 격동기에 이성계의 휘하에 들어가 황산대첩 등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조선 개국을 도왔으며, 두 차례의 왕자..

문화재 탐방 2024.08.05

전남 영광. 묘장영당(畝長影堂)

영광 묘장영당(靈光 畝長影堂)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9호.  전남 영광군 묘량면 운당리 영당마을 1002호. 묘장서원(畝長書院) 또는 영당사(影堂祠)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의 개국공신인 양도공 이천우(李天祐 1354∼1417)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1616년에 건립되었다.    외삼문(外三門) 정의문(正義門)  묘장서원(畝長書院)   묘장서원(畝長書院) 편액.   묘장서원(畝長書院) 묘정비(廟庭碑)   내삼문(內三門) 계명문(啓明門)  영당사(影堂祠)조선조 태종은 1416년 이천우가 퇴직할 때 그 공적을 치하하여 화공으로 하여금 이천우의 화상(畵像)과 이응도(二鷹圖)를 그리게 했는데 그것이 후에 묘장영당을 건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문화재 탐방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