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정 입구.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3호(2005.02.26. 지정) 돌계단을 따라 오르면 유산정과 유적비를 볼 수 있다. 전남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 130번지. 무안 유산정 유적비 안내문. 무안 유산정 유적비는 유산정(遊山亭)과 같이 있다. 유산정은 원래 고려 충열왕 때 인물인 면남(綿南) 박문오(朴文晤)가 낙향하여 지은 정자로 알려져 온다. 후에 박문오의 증손 풍정 박의룡(楓亭 朴義龍)이 조선 개국기에 활동하면서 이조, 호조 등의 판서를 지내다가 퇴관한 뒤 이곳에 내려와 지냈다고 한다. 세조 때 무안으로 낙향한 애한정 박익경(愛閑亭 朴益卿)은 박문오의 7대손으로 유산정을 중수한다. 그 뒤의 중수에 관한 기록은 자세하지 않으나 지역의 교류 공간으로, 후손들의 공동체 공간으로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