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류정 3

전남 나주. 광산김씨. 벽류정(碧流亭) 전남 유형문화재 제184호.

나주. 벽류정(碧流亭) 전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1992.11.30. 지정) 벽류정 김운해가 건립한 정자로 인조 18년(1640)에 세웠다. *주소: 전남 나주시 세지면 벽산리 492 (벽산벽류길 102) 나주. 벽류정(碧流亭) 안내문. 벽류정 김운해가 건립한 정자로 인조 18년(1640)에 세웠다. 원래는 조선 세종 때 호조참판을 지낸 청계 조주(趙注)가 지은 별장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산김씨의 소유가 되어 그 터에 건물을 지었다. 벽류정은 김운해가 건립한 이후로 조선후기 숙종 대와 철종 대에 중수를 거쳐 현재 모습에 이르고 있다. 벽류정은 '벽류(碧流)' 즉, 푸른빛의 물줄기가 흘러가는 정자라는 의미로 '벽류정'은 김운해 선생의 호(號)이기도 하였다. 금성산을 뒤로하고 펼쳐진 평야 속..

문화재 탐방 2024.04.08

전남 나주. 벽류정(碧流亭) 전남 유형문화재 제184호.

나주. 벽류정(碧流亭) 전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1992.11.30. 지정)  벽류정 김운해가 건립한 정자로 인조 18년(1640)에 세웠다.   전남 나주시 세지면 벽산리 492 (벽산벽류길 102)     나주. 벽류정(碧流亭) 안내문.   벽류정 김운해가 건립한 정자로 인조 18년(1640)에 세웠다. 원래는 조선 세종 때 호조참판을 지낸 청계 조주(趙注)가 지은 별장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산김씨의 소유가 되어 그 터에 건물을 지었다. 벽류정은 김운해가 건립한 이후로 조선후기 숙종 대와 철종 대에 중수를 거쳐 현재 모습에 이르고 있다. 벽류정은 '벽류(碧流)' 즉, 푸른빛의 물줄기가 흘러가는 정자라는 의미로 '벽류정'은 김운해 선생의 호(號)이기도 하였다.  금성산을 뒤로하고 펼쳐진..

문화재 탐방 2019.08.26

전남 나주. 벽류정(碧流亭)

나주 벽류정(碧流亭)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전남 나주시 세지면 벽산리 492번지.    벽류정(碧流亭)은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아름다운 정자로 인조 18년(1640)에 김운해가 건립하였다. 원래는 조주(趙注)가 지은 별장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산 김씨의 소유가 되어 그 터에 건물을 지었다. 여러 차례의 보수공사를 거쳐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금성산을 뒤로하고 펼쳐진 평야 속에 자리한 3개의 언덕 중에서 가장 큰 언덕의 숲 속에 자리하고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지붕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내부에는 글씨를 잘 썼던 민규호, 신헌 등이 쓴 현판을 비롯하여 11개의 현판을 보존하고 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벽류정(碧流亭) 안내문.   벽류김공행적 부정자연혁비..

문화재 탐방 2016.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