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강사 3

전남 나주. 금성나씨. 체암 나대용 장군 묘소.

체암 나대용 장군 묘소. 금성나씨 세장산. *주소: 전남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192. *찾아가는 길. 나대용 장군 생가를 거쳐 묘소를 가기 위해 아랫마을에 자리한 봉강사를 지나 안국천 다리를 건너 818번(문평로) 지방도로로 우회전하여 약 2km정도 가다가 용현사로 들어가는 저수지(대도지) 둑을 (소사길: 용현교) 타고 들어간다. 저수지(대도지) 둑을 (소사길: 용현교)을 지나서 용현사 700m라는 푯말이 세워진 곳에서 용현사 반대방향인 좌측 오솔길로 들어선다. 승용차 통행은 가능하다. 경목재(敬睦齋) 오솔길을 한참 들어가면 경목재라는 재각이 나타난다. 경목재 뒷편으로 금성나씨 세장산이다. *경목재 주소: 전남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192. 경목재(敬睦齋) 경목재(敬睦齋) 현판. 경목재 뒷편으로 보이는..

발길을 따라 2023.08.30

전남 나주. 금성나씨. 봉강사(鳳岡祠). 전남 문화재자료 제94호.

봉강사(鳳岡祠) 금성나씨 사우 (錦城羅氏 祠宇)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94호. (1984.02.29) *소재지: 전남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553-2번지. 봉강사(鳳岡祠)는 고려 때 문신인 나문규(1312∼1355)와 나계종(1339∼1415)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금성나씨 문중에서 세운 사당이다. 나문규는 고려 충혜왕 1년(1334) 문과에 급제하고 명경박사를 거쳐 공민왕 1년(1352) 서해안 염사를 지냈으며, 나계종은 공양왕 2년(1390) 예문관제학을 지내고 정몽주가 순절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초가집을 지어 주변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심고 자신의 호를 죽헌(竹軒)이라 하고 여생을 보냈다.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24년 복원하였다. 앞면 ..

문화재 탐방 2023.08.25

전남 장흥. 장흥고씨. 봉강사(鳳岡祠)

봉강사 출입문.  봉강사 외삼문은 2006년 재각 재신축시 외삼문을 설치하지 않고 철제문으로 설치했다 한다.   다녀온 날: 2019년 10월 6일.  전남 장흥군 안양면 모령리 542-1 (용안로 535-89)   장흥군 모령리 장흥고씨 봉강사(鳳岡祠)  장흥군 안양면 용안로 535-89, 모령리 봉동(鳳洞 샛골)에는 장흥고씨 소유 봉강사(鳳岡祠)가 위치한다.  이곳은 문열공 건재(健齋) 김천일(金千鎰), 충의공 일휴당(日休堂) 최경회(崔慶會), 효열공 준봉(준峰) 고종후(高從厚), 호조참의공 기봉(箕峰) 고수위(高守緯), 곡성현감공 문성(文成) 고언장(高彦章)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954년(壬辰) 설단(設壇)하고 陰 9월 15일 지역 유림의 주관으로 향사 해왔다. 이후 1979년(己未) 후손들의..

발길을 따라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