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위자강 2

삼강오륜(三綱五倫)

삼강오륜(三綱五倫)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과 5가지의 도리를 이르는 말. *삼강(三綱)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오륜(五倫)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삼강(三綱) 1.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과 신하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2. 부위자강(父爲子綱):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3. 부위부강(夫爲婦綱): 남편과 아내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 *오륜(五倫) 1.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함. 2. 부자유친(父子有親):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함. 3.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고전 사랑방 2024.10.22

전남 무안. 무안향교 삼강문(務安鄕校 三綱門)

무안향교 삼강문(務安鄕校 三綱門) 무안향교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다. *주소: 전남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 260-1.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3가지 강령과 사람이 항상 행해야 할 5가지 실천 덕목.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는데, 각각 임금과 신하, 어버이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강조했다. 유가에서는 전통적으로 충과 효를 강조했으며, 남편에 대한 아내의 순종을 말하고 있다. 이를 공맹의 교리에 입각해 삼강으로 체계화한 것이 한대의 동중서이다. 그는 〈춘추번로 春秋繁露〉 기의(基義)에서 하늘과 땅을 임금과 신하, 양과 음을 남편과 아내, 봄과 여름을 아버지와 아들에 각각 비유하면서 이를 왕도(王道)와 결부시켰다. 삼강은 군신..

발길을 따라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