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공 이천우 3

전남 영광.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 전남 민속문화재 제22호.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2호.1987.06.01.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에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조카인 양도공 이천우와 전주이씨 양도공파의 종가이다.   *주소: 전남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4길 36 (영양리 567-1)       영광 이규헌 가옥 안내문.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은 500여년이나 된 옛 집터에 자리하고 있는 전통가옥이다. 처음으로 이곳에 정착한 이효상(李孝常)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조카이며 개국공신인 이천우(李天祐)의 증손이다.  또한 이 집은 20대가 지나도록 살고 있는 전주이씨(全州李氏) 양도공파(襄度公派)의 종가집이기도 하다. 특히 임진왜란시 영광 수성도별장(守城都別將)이었던 이응종(李應鍾)의 생가이며 숙종 때 이상호(李相虎)의 지극한 효..

문화재 탐방 2024.08.02

전남 영광. 이규헌 가옥(李奎憲 家屋) 전남 민속문화재 제22호.

영광 이규헌 가옥(靈光 李奎憲 家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2호.(1987.06.01)  전남 영광군 묘량면 묘량로4길 36 (영양리 567-1)    전주이씨 양도공파의 종가집으로 임진왜란 때 영광 수성도 별장을 지낸 이응종의 생가이기도 하다. 사랑채는 건물에 적힌 기록(상량문)에 따르면 조선 고종 32년(1895)에 지었다고 한다. 크게 안채, 사랑채, 사당으로 나눌 수 있다. 안채는 앞면 6칸·옆면 2칸 크기로 앞쪽과 좌우에 퇴를 두었고 방·대청·부엌·건넌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앞면 4칸·옆면 1칸 크기이며 앞뒤로 퇴를 두고 방과 대청으로 꾸몄다. 사당에는 양도공 이천우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배치와 구성이 조선시대 민가형식의 전형을 잘 갖추고 있는 집이다.   - 우리 지역 문화..

문화재 탐방 2017.01.16

전남 영광. 묘장영당(畝長影堂)

영광 묘장영당(靈光 畝長影堂)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9호.  전남 영광군 묘량면 운당리 영당마을 1002호. 묘장서원(畝長書院) 또는 영당사(影堂祠)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의 개국공신인 양도공 이천우(李天祐 1354∼1417)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으로, 1616년에 건립되었다.    외삼문(外三門) 정의문(正義門)  묘장서원(畝長書院)   묘장서원(畝長書院) 편액.   묘장서원(畝長書院) 묘정비(廟庭碑)   내삼문(內三門) 계명문(啓明門)  영당사(影堂祠)조선조 태종은 1416년 이천우가 퇴직할 때 그 공적을 치하하여 화공으로 하여금 이천우의 화상(畵像)과 이응도(二鷹圖)를 그리게 했는데 그것이 후에 묘장영당을 건립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문화재 탐방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