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이씨 2

전남 장성. 양성이씨. 추원재(追遠齋) 전남 민속문화재 제50호.

장성 추원재(長城 追遠齋)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50호.(2019.12.26.) 관리자 : 양성이씨종중(상서공파십오세증종중)   *소재지 :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검정길 96-7 (행정리 334) 외 1필지   장성 추원재는 남면 행정리 마을 중심부에서 조금 떨어진 산기슭에 입지하고 있다.  추원재는 조선시대 장악원 첨정(掌樂院 僉正)을 지낸 이증(李增)의 재실 묘각(墓閣)으로 1800년대 초에 건립하였던 것을 옮겨 1894년 2월에 중건한 건물이다.  상량문에는“崇禎紀元後五回甲午二月二十二日巳時立柱二十五日上樑”이라는 기록이 있어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다.  1894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잡은 추원재는 1900년대 격변의 역사를 거치면서 시대를 살아간 수많은 사람들의 발자취를 간직한 채 지금까지 건실한 ..

문화재 탐방 2024.11.25

전남 신안. 전남 유형문화재 제71호. 팔금 읍리 삼층석탑.

팔금 읍리 삼층석탑(八禽 邑里 三層石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1호 (1978년 9월 22일. 지정) *주소: 전남 신안군 팔금면 읍리 350-1. 1층 기단(基壇) 위에 탑신부(塔身部)를 세우고 머리장식을 갖췄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에 기둥조각(隅柱, 우주)을 가지런히 새겨 넣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알맞게 줄어 안정감을 준다. 두꺼운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으로 보이는 파손된 석재가 놓여있다. 기단이 1층이고 가운데 기둥 조각이 생략된 점, 두꺼운 지붕돌과 4단 지붕돌받침 등으로 보아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탑 뒤편의 금당산과 그 아래 절곡 등의 지명..

문화재 탐방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