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19

전남 무안. 나주임씨. 식영정(息營亭) 한호 임연(林堧) 강학교류처.

무안 식영정. 한호 임연의 강학교류처 식영정(息營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지정: 2002.04.19) 관리자: 나주임씨 한호공파 종중. *주소: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호반로 562-15)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복거록(卜居錄)』에 잘 나타나..

문화재 탐방 2024.02.05

전남 나주. 함평이씨. 석관정(石串亭)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石串歸帆) 표석비. 함평이씨 정자. *주소: 전남 나주시 다시면 석관로 578 (동당리 845)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石串歸帆) 황포돛배와 영산강 절경을 볼 수 있는 석관정. 영산강 물줄기가 죽산보를 지나 더 내려가면 영산강과 고막천이 합류하는 곳에 석관정(石串亭)이 있다. 석관이란 바위가 뛰어나온 돌곶을 한자어로 표현한 말이다. 석관정 아래 이별바위가 있고 이곳에서 전쟁 때마다 장정들을 실어 날랐다고 한다. 남편이나 연인을 따라왔다가 넓어진 강을 더 이상 건너지 못하고 이별하거나 강물에 투신했던 슬픈 역사를 안고 있다. 동당리 석관정에서 바라다 보이는 강 건너편이 바로 금강정이 있는 공산면 신곡리다. 조선시대에는 동당리와 강건너 신곡리를 오고가는 나루가 있었는데, 이를 '석관정..

발길을 따라 2023.10.20

전남 무안. 식영정(息營亭) 영산강 제2경 몽탄노적

무안. 식영정(務安 息營亭) 전경. 한호 임연의 강학교류처 식영정(息營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지정: 2002.04.19) 관리자: 나주임씨 한호공파 종중. *소재지: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호반로 562-15)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 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복거..

문화재 탐방 2022.02.04

전남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등록문화재 제118호)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 국가지정문화재. 주소: 전남 함평군 학교면 월호리 282 (중천포로 634) 세부명칭;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 지정번호: 등록문화재 제118호. 지정일: 2004. 12. 31. 일제강점기에 가장 번화하였던 학교면에 있는 중천포는 그 당시에는 영산강에 연결되는 나루터로 사용되었다. 또 일제강점기에 일본 주재사무소로 이용되기도 하여 일본 사람이 직접 관리하는 터미널로서 곡식들을 걷어 일본으로 가지고 가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영산강의 줄기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중천포의 건물은 정방형 형태로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흙벽에 나무판을 덧대어 사용한 것이 일제강점기 때의 건축물임이 확연히 표면에서 드러나고 우진각 지붕으로 목구조 2층으로 지어졌다. 이..

발길을 따라 2021.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