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찬 3

전북 군산. 세종대왕 숭모비 & 현충단(賢忠壇)

左: 현충사      &      右: 세종대왕 숭모비각.  *현충사와 세종대왕 숭모비각은 옥구향교 경내 좌측 담장 밖에 자리하고 있다.   *주소: 전북 군산시 옥구읍 광월길 33- 50.   左: 현충사     &     右: 세종대왕 숭모비각 삼문.   세종대왕 숭모비각 입문.  세종대왕 숭모비 안내문.  세종대왕 출생: 1397(태조 6)사망: 1450(세종 32)재위: 1418년~1450년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능묘: 영릉(英陵)  조선 제4대 왕이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조선 초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왕.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된 후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여 조선 초기 국가의 기틀이 되는 전반적인 제도를 갖추었고, 조선왕조가 지배 기반으로 삼은..

발길을 따라 2024.10.16

전북 정읍. 동학농민군 총관령. 김개남 장군 묘역.

김개남 장군 묘역(金開南 將軍 墓域) 동학농민운동의 실세이자, 봉기의 주역인 총관령 김개남. *소재지: 전북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 669-1. 전북 정읍시 산외면 동곡리에 있는 김개남 장군의 묘는 시신이 없는 빈 무덤, 즉 가묘(假墓)이다. 효수 당시 시신을 거두지 못하여 1995년 4월 가묘를 만들었다. 현재 묘역의 관리는 국가나 지자체가 아닌 도강김씨 후손들이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전라북도 태인 출생으로. 1853(철종 4)~1895(고종 32). 부친 김대흠, 모친 익산이씨 3남 4여중 셋째 아들이었다. 어릴 때 이름은 영주(永疇)였으며 1893년 11월 전봉준, 손화중과 함께 동학농민군을 일으켰으며 총관령이 되었다. 호남우도의 동학농민군을 이끌었다. 성품이 상대적으로 온건했던 전봉준과 달리 ..

동학 유적지 2021.08.18

전북 고창. 도동사(道東祠)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

도동사(道東祠)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2004년 6월 8일 지정.  *안타깝게도 외삼문이 굳게 잠겨 있어 내부로 출입은 불가하였다. 외삼문 옆에 관리자 연락처가 적혀 있었으나 당일이 일요일로 휴일인데 탐방하겠다고 문을 열어 달라고 할 자신이 없어 아쉽지만 발걸음을 돌렸다.   다녀온 날: 2019년 4월 7일. 전북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 566-1  (가평1길 59)    도동사 안내문.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가평리에 있는 최익현, 고석진, 고예진, 고용진을 기리는 일제 강점기 사당.   추모대상.최익현(崔益鉉, 1833~1906). 고용진(高龍鎭·1850.~1922)고석진(高石鎭, 1856∼1924)고예진(高禮鎭·1875.~1952)     도동사는 원래 고석진이 후학을 가르치던 방호정사가 있던..

문화재 탐방 2019.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