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간채 6

전남 나주. 김효병 가옥(金孝炳 家屋) 전남 시도민속문화재 제11호.

김효병 가옥(金孝炳 家屋)전라남도 시도민속문화재 제11호.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에 있는 20세기 초의 주택.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 226 (귀엽방하길 15-4) 전남 나주시 왕곡면 송죽1구 마을의 뒤편 경사진 대지에 터를 조성하였다. 마당 좌측에 헛간채가 사랑채와 직각방향으로 자리잡고 있고, 마당 오른쪽으로 화단이 조성되어 있다. 경사대지의 전면에 높다랗게 석축을 쌓고 사랑채를 배치하였고 한층 높은 윗단에 안채를 배치하였다. 안채와 사랑채는 남서향으로 二자형 배치를 하고 있다.안채는 조선 후기에 건립하였다고 하는데, 상량문에 “숭정 기원후 오갑자 이월…(崇禎紀元後五甲子二月)”이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24년경 중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사랑채는 얼마 전까지 양식기와가 얹혀..

문화재 탐방 2020.06.17

전남 영암. 최성호 가옥(崔成鎬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4호.

영암 최성호 가옥(崔成鎬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4호.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정길 10-14 (영보리 294-1)   조선 후기 전형적인 남도 부농의 집으로 19세기 말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20세기 중반에 고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 그리고 헛간채가 사방에 배치되어 작은 규모이지만 짜임새 있는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안동의 'ㅁ'자 형식과는 다른 각각의 독립된 집 네 채가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문간채 서쪽 끝에 대문이 있고,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사랑채가 보이고 우측으로 헛간채가 이어지며, 마당을 지나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아담한 규모의 '一'자형 집으로 서쪽부터 부엌·큰방·대청·작은방이 있으며, 부엌을 제외하고 앞쪽에 툇마루가 있다. 작은방 뒷쪽에는 아궁이가..

문화재 탐방 2017.04.11

전남 보성. 이금재 가옥(李錦載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57호.

보성 이금재 가옥(寶城 李錦載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57호.(1984.01.14)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228-1번지.  (전남 보성군 득량면 강골길 32-3)   바다에 면한 조그만 골짜기에 오봉산을 바라보면서 여러 채의 집들이 자리하고 있고, 마을 한가운데에는 연못이 있다. 연못의 동쪽 탱자나무 울타리 골목을 들어서면 동향한 문간채와 남쪽으로 향한 헛간채가 있다. 대문간을 들어서면 안마당이 있고 마당 북쪽으로 남향한 안채가 있으며, 서쪽으로 작은 곳간채, 남쪽으로 큰 곳간채가 있다. 안채는 1900년 전후에 지어졌고 맞은편 광채는 더 올라가며, 나머지는 20세기 초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날개가 뒤로 덧달아져 있다. 서쪽부터 부엌·큰방·대청 2칸과 끝에 작은방이 있..

문화재 탐방 2017.01.12

전남 보성. 이종선 가옥(李鍾善 家屋) 전남 민속자료 제15호.

보성 이종선 가옥(李鍾善 家屋)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15호.  전남 보성군 보성읍 예동길 52 (옥암리 582-1)    보성 이종선 가옥은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15호로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대나무 숲을 뒤로하고 자리잡은 옛 집이다. 안채는 1908년에 지은 것이고 기타 건물은 이보다 약간 후대에 지은 것이다.  안채는 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一자형으로 되어 있고, 안채 앞쪽으로 좌우에 아래채와 헛간채가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입구의 오른쪽에 북향하여 배치되었고 그 앞에 사랑마당이 있다.  보성 이종선 가옥 안내문.   민속자료 제15호. 보성 이종선 가옥 비석.   이종선 가옥 안채.   안채. 안채는 겹집 형태의 7칸 집으로 앞뒤에 퇴칸을 둔 큰 규모이..

문화재 탐방 2017.01.02

전남 보성. 이용우 가옥(李容禹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보성 이용우 가옥(李容禹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전남 보성군 보성읍 예동길 46-5(옥암리 580)  옥암리 마을에 들어서면 맨 먼저 이용우 가옥을 만나게 되는데, 안타깝게도 대문이 잠겨져 있어 내부를 자세히 살펴볼 수가 없다. 하는 수없이 가옥 주위를 두루 살펴보니 가옥을 대대적으로 보수공사 중이었다. 보성 이용우 가옥은 중요민속자료 제163호로 1984년 1월 14일 지정되었으며 1900년대 초에 지은 마을지주의 집으로 안채는 1908년에 지었고 사랑채도 당시에 지었다고 생각되며, 곳간채는 이보다 늦게 지어졌으며. 대문채와 헛간채는 지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 한다.  보성 이용우 가옥 안내문.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이용우 가옥 비석.   초가로 된 바깥채. 기와로 바꿀 예정인지 ..

문화재 탐방 2016.12.29

전남 장흥. 오헌고택(梧軒古宅) 위성탁 가옥

장흥 오헌고택(梧軒古宅) 위성탁 가옥. 전라남도 민속자료 제7호 (2012.04.13)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1길 44 (방촌리 679)    남도 대농 반가의 대표적 사례로서 안채, 사랑채, 사당, 문간채, 연못 등 축조당시 공간구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보존관리상태도 양호하여 남도 건축문화 연구에 중요하다. 다양한 민속생활사 관련 유물과 자료가 소장되어 있으며, 지역 양반문화 및 향촌 생활사 연구 등과 관련 역사적․민속적 가치가 높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장흥 위성탁 가옥 안내문. 이 집은 한국농촌의 전형적인 양반집의 구조를 잘 보존하고 있는데 안채, 사랑채, 곡간채, 행랑채, 헛간재 등 비교적 규모도 큰 편이다. 건물은 남동향을 하고 있고 일직선으로 배치되었다. 여인들의 생활공간..

문화재 탐방 2016.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