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유적

전남 완도. 묘당도 충무사(忠武祠)

백산(栢山) 2014. 3. 13. 10:50

 

충무사로 들어가는 입구 하마비(下馬碑).

 

하마비 뒷편으로 홍살문이 보이며 좌측 언덕에는 이충무공의 유해가 안장되었던 가묘(假墓) 터가 있다.

 

 

전남 완도 고금도 이충무공 유적 충무사.


충무사(忠武祠)는 선조(宣祖) 31년(1598)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충무공(忠武公)이 명(明)나라 수군(水軍) 도독(都督) 진린(陣璘)과 본영을 이곳에 두고 왜군을 크게 무찌른 곳이며, 공(公)께서 노량대첩(露梁大捷)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치신 이후 이곳에 영구(靈柩)를 봉안(奉安)하였다가 지금의 현충사(충남 아산)로 옮긴 유서가 깊은 곳이다.

 

고금도(古今島)는 형세가 견고한 요충지이며 섬 안에는 기름진 농토가 많아서 사람들이 살기에 아주 적당한 곳이므로 공(公)은 이곳에 본영(本營)을 설치하고 수군(水軍) 재건(再建)에 온힘을 기울였다.

 

충무사(忠武祠) 본 건물은 선조(宣祖) 31년(1598) 명(明)나라 도독(都督)이 그들의 군신 관왕(關王-삼국지의 등장인물 관운장)을 모시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현종 7년(1666년) 수군절도사 유비연(柳斐然)이 중수하고 동무(東무)에는 진린(陣璘), 서무(西무)에는 충무공(忠武公)을 모시고 암자(庵子) 옥천사(玉泉寺)를 지어 승려(僧侶) 천휘(天輝)로 하여금 사당(祠堂)을 관리(管理)하고 제사(祭祀)를 모시게 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고금도 유림이 중심이 되어 충무사 현판을 걸고 일생을 충의에 살고 나라를 구하신 높은 덕을 기리기 위해 다시 공을 정전(正殿)에 모셨으며, 1959년에는 이순신(李舜臣)의 보좌관인 조방장이며 당시 가리포 첨사 양성(陽城)인 이영남(李英男)을 동무에 모시고, 매년 4월 28일(양력) 탄신기념제와 11월 19일(음력) 순국제(殉國祭)를 봉행하고 있다.

 

 

하마비(下馬碑).


충무사(忠武祠)로 들어가는 해변 진입로 우측에 있다.

충무사 경내 입구임을 알리는 하마비로 전면에 '대소인원개하마비(大小人員皆下馬碑)'라 쓰여 있고,

건립 년대는 병오년에 중건하였다고 만 쓰여있어 정확히 어느 시기인지 알 수 없다.

비(碑)의 형태는 호패형이며 규모로는 높이 120cm, 넓이 61cm, 두께 15cm이다.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안내도와 안내문.

 

 

안내도와 안내문이 세워진 언덕 위에 이충무공의 가묘 터(월송대) 가 있다.

 

 

이충무공 가묘(假墓) 터(월송대).

 

 

이충무공 가묘(假墓): (월송대) 유적 안내문.

충무공 이순신장군 가묘 유허.
忠武公 李舜臣將軍 假墓 遺墟.

 

소재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산 58.

 

이곳은 임진왜란(壬辰倭亂:1592~1598)때 왜적(倭賊)을 물리친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1545~1598)장군(將軍)의 유해(遺骸)를 임시로 안장(安葬)하였던 터이다.

이순신 장군은 이 고금도(古今島)에서 수군본영(水軍本營)을 설치하여 수군(水軍)을 훈련(訓練)하고 전선(戰船)을 건조(建造). 수리(修理)하는 등 군비(軍備)를 재정비(再整備)하여 왜적(倭賊)의 침입(侵入)을 물리쳤다.

장군이 1598년 11월 19일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순국(殉國)하자 본영(本營)이었던 이곳에 80여일간 안장한 후 이듬해에 충남 아산(忠南 牙山: 현충사 근처)으로 옮겼다.

 

가묘(假墓) 터(월송대).

 

이충무공(公)께서 노량대첩(露梁大捷)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치신 이후

이곳 월송대에 영구(靈柩)를 봉안(奉安)하였다가 지금의 현충사(충남 아산)로 옮긴 유서 깊은 곳이다.

 

 

충무사 입구에 세워진 홍살문.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안내문.

사적 제114호(1960. 1 29)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산58.

 

 

충무사 외삼문.

 

충무사를 들어서기 위한 첫 관문인 외삼문으로 이충무공 영정이 모셔진 제단까지는

세차례의 대문을 통과해야 뵐 수가 있다.

 

 

사적 제114호 이충무공유적비.

 

대문을 들어서면 길 우측으로 유적비와 관찰사 이규현 불망비가 방문객을 반긴다.

 

 

                                                              관찰사 이규현 비.


1842년(헌종 8년) 3월 25일에 건립하였으며 비의 형태는 호패형이며 규모로는 높이 134cm, 넓이 66cm, 두께 14cm로 충무사 외삼문 앞 우측 길변에 있다.

 

 

충무사 정문 입구.

 

전남 완도 고금도 이충무공 유적 충무사.


충무사(忠武祠)는 선조(宣祖) 31년(1598)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충무공(忠武公)이 명(明)나라 수군(水軍) 도독(都督) 진린(陣璘)과 본영을 이곳에 두고 왜군을 크게 무찌른 곳이며, 공(公)께서 노량대첩(露梁大捷)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치신 이후 이곳에 영구(靈柩)를 봉안(奉安)하였다가 지금의 현충사(충남 아산)로 옮긴 유서가 깊은 곳이다.

 

고금도(古今島)는 형세가 견고한 요충지이며 섬 안에는 기름진 농토가 많아서 사람들이 살기에 아주 적당한 곳이므로 공(公)은 이곳에 본영(本營)을 설치하고 수군(水軍) 재건(再建)에 온힘을 기울였다.

 

충무사(忠武祠) 본 건물은 선조(宣祖) 31년(1598) 명(明)나라 도독(都督)이 그들의 군신 관왕(關王-삼국지의 등장인물 관운장)을 모시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현종 7년(1666년) 수군절도사 유비연(柳斐然)이 중수하고 동무(東무)에는 진린(陣璘), 서무(西무)에는 충무공(忠武公)을 모시고 암자(庵子) 옥천사(玉泉寺)를 지어 승려(僧侶) 천휘(天輝)로 하여금 사당(祠堂)을 관리(管理)하고 제사(祭祀)를 모시게 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고금도 유림이 중심이 되어 충무사 현판을 걸고 일생을 충의에 살고 나라를 구하신 높은 덕을 기리기 위해 다시 공을 정전(正殿)에 모셨으며, 1959년에는 이순신(李舜臣)의 보좌관인 조방장이며 당시 가리포 첨사 양성(陽城)인 이영남(李英男)을 동무에 모시고, 매년 4월 28일(양력) 탄신기념제와 11월 19일(음력) 순국제(殉國祭)를 봉행하고 있다.


 

동재(東齊)

 

 

동재 현판.

 

 

동재 반대편에 세워진 건물인데 현판이 없다.

동재의 반대편이니 서재가 아닐까?

 

 

이충무공 영정이 모셔진 사당으로 들어서는 마지막 대문.

 

 

서무(西무)

대문을 들어서면 좌우측에 동무와 서무의 사당이 조성되어 있는데

원래 동무에는 중국 장군 진린과 서무에는 이충무공을 모셔던 곳이었다.

서무 뒷편에 관왕묘가 모셔져 있다.

 

 

동무(東무)

 

 

 

 

동무(東무)에 모셔진 가리포 첨사 이영남 영정과 제단.

 

1959년부터 이순신(李舜臣)의 보좌관으로 조방장이며 당시 가리포첨사 양성(陽城)인 이영남(李英男)을 동무(東무)에 모시고, 양성 이씨 대종회에서 매년 4월 28일(양력) 탄신기념제와 11월 19일(음력)  순국제(殉國祭)를 봉행하고 있다.


 

관왕묘비 안내판.

 

관왕은 중국 삼국지 등장인물 관운장을 말한다.

 

 

관왕묘비가 세워진 전각.

 

 

관왕묘비 안내문.

 

 

관왕묘비.

 

기나긴 세월 탓으로 비문이 많이 닳고 낡아 알아 볼 수가 없다.

 

 

희미하게 고금도 관왕묘비를 읽어 볼 수있다.

 

 

이충무공 영정이 모셔진 충무사.

 

 

                                                                    전진도첩.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63호.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전진도첩은 가로 10.5cm, 세로 28.cm, 13절 1첩의 크기로 충무사 유적보존 위원회에서 보관중이다.

 

정확안 제작시기는 알 수 없으며, 다만 첩지 안쪽에 乾陸 四十五 庚子(1780년 정조 4년)의 작대(수군편제)라는 기록이 있어 작성 년대는 1780년 이후 일 것이라 짐작된다.

 

이 전지도에 수록된 내용을 보면 설진도, 확인진도, 군선기호 등이다. 이들 내용은 전라우수영의 군사조직과 운영실태를 그대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전진도첩은 1988년 3월 16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63호로 지정되어 현재 충무 사내에 보관하고 있다.

 

 

방명록.

 

 

이충무공 영정이 모셔진 제단.

 

 

이충무공 영정.

 

 

해전도

전투 당시 상황을 묘사한 듯한 그림들.

 

 

해전도.

 

 

이충무공유적사업기념비.

 

 

음수대인듯 한데 기나긴 겨울 가뭄탓으로 말라 있다.

 

 

이충무공유적기념비와 관리인 관리사.

 

 

이충무공유적기념비와 관리인 관리사.

 

 

고금도 이충무공유적기념비 전경.

 

 

이충무공유적지 관리인이 생활하는 듯한데 인기척은 없고 과거에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장대로 입구를 가로 막아 놓았다.

 

 

탐방일: 2014년 2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