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영등 할미.
2월 할만네 - 제 올리고 소원 빌던 사라져 가는 미풍양속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영등할미’의 전설이 전해지며 영등 할미에게 한해의 풍어(豊漁)와 농사의 풍년(豊年)을 기원하는 제(祭)를 올렸다.
전설에는 영등 할미가 음력 2월 초하루 날에 얼어죽었다 하기도 하고 또는 영등 할미가 있어 해마다 2월 초하루 날이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세상을 돌아보고 그 달 20일쯤에 상천(上天)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특히 영등 할미는 세상에 내려올 때 딸을 데리고 내려오면 그 해 날씨도 좋고 만사 평온, 풍년과 풍어가 들지만 며느리를 데리고 오는 해는 반대현상이 나타난다고 전해지고 있다. 영등 할미가 세상에서 천상으로 올라갈 때까지 사람들은 부엌에다 대나무 막대기의 끝을 쪼개 받침대를 만들어 세우고 그 위에 종지를 얻고 정화수(井華水)를 올리기도 했으며 대를 꽂은 땅에는 황토를 뿌리고 동백나무 가지를 꽂았다.
영등 할미는 세 사람으로 10일에는 상등할미가 올라가고, 15일에는 이등할미가, 20일에는 하등할미가 상천하며 세 번째의 마지막 할미가 상천할 때는 대부분의 가정마다 제를 지내 안택(安宅)과 풍년을 기원했다.
거제를 비롯한 통영, 고성 등 남해안 일대 지역에서는 이때를 ‘할만네’라고 부르며 영등 할미가 상천하는 날마다 팥밥을 해먹기도 했다. 특히 마지막 영등 할미가 상천하는 날 정성껏 저녁상을 차리고 소지종이를 불살라 올리는 등 분신제를 지냈으며 특히 통영지역은 명정동 충렬사 앞마당에서 합동 분신제를 지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때 여자들은 동백가지를 담은 물동이에 명정 샘물을 길러 머리에 이고 충렬사 앞마당을 돌았으며 이때만은 유일하게 가정의 규수들과 총각들의 어울림도 허락돼 남녀가 함께 어울려 마당을 돌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기도 했다.
이때 부르던 노래들은 영등 할미를 우리의 삶과 연계시켜 소박한 소원을 비는 내용이었다.“영등 영등 할마시야 한 바구리 만 캐어다오/ 두 바구리 만 캐어주소 영등 영등 할마시야/ 비나이다 비나이다 이 갯물이 많이 나서/ 두 바구리 캐고 나면 바다 물이 들어오소/ 비나이다 비나이다 영등할마시 비나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 8-1. 8-2 수록)”
“영등 영등 할마시 한 바구리 만 캐어주소/ 두 바구리 만 되어주소/ 영등 영등 할마시/ 비나이다 비나이다/ 영등 할마시 비나이다/ (영등 할마시 나물 캐는 민요, 제보자: 거제시 사등면 성내리 신만순, 1926년생)”
“영등 영등 할마시야 봄나물을 캐러왔소/ 많이도 하지말고 적기도 하지말고/ 한 바구리 만 불아주소/ 영등 영등 할마시야 (제보자: 거제시. 박또악. 1910년생)”
특히. 나물 캐던 노래는 찢어지게 가난했던 우리네 살림살이에서 아낙네들이 이른 봄 나물을 캐며 아직 자라지 않은 나물들이 제대로 캐어지지는 않고 캔 나물들이 햇빛에 시들어 오히려 줄어들 때 나물 캐던 칼을 땅에 꽂아두고 그 앞에 앉아 안타까운 마음에 바구니를 돌리면서 불렀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노래마저 채록(採錄)되지 않은 채, 뇌리에서 사라져 완벽한 곡조조차 알 길이 없어졌고 더구나 우리사회의 민도(民度)는 정치와 산업으로 치닫으며 문화에 대한 민도까지 더욱 낮아져 할만네의 세시풍속은 전설 속으로 묻혀가고 있다. 하지만 할만네는 수많은 세월이 흐르는 동안 지역민이 함께 사랑을 나누게 하고 또한 아름다운 마음씨와 숭고한 정신세계를 창조해 선조와 우리들 후손의 단결된 민족성(民族性), 또한 순하디 순한 정신세계도 이어지게 했음은 그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성싶다.
- 출처 / 웹사이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