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장사(忠壯祠) 입구 안내판.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
광주 북구 금곡동 1024-1 (송강로 13)
충장사(忠壯祠)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김덕령 장군을 모신 사당이다.
김덕령(1567∼1596) 장군은 임진왜란 때 담양에서 이름을 떨친 의병장으로 비록 체구는 작지만 민첩하고 능력이 탁월해 왜병장들은 그의 얼굴만 보고도 무서워 철수했다고 한다. 선조 28년(1595) 적장과 내통한다는 억울한 죄를 뒤집어쓰고 체포되어 이듬해 옥사하였다.
영조 때 그의 무고함이 밝혀져 병조판서로 추증되었고 광주 의열사에 그의 위패를 모셨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충장사 안내도.
충장사 안내문.
충용문(忠勇門)
외삼문.
김덕령 장군 신도비.
유물관.
김덕령 장군 의복과 의병장 김덕령 안내문.
1965년 광산 김씨의 무덤들이 모여있는 광주 무등산 이치(梨峙)에서 김덕령 장군의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400년 전의 의복들이다.
출토된 김덕령 장군 의복에는 조선시대 문무관이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거나, 왕을 호위할 때, 또는 국난시에 입었던 철릭의 여름용과 겨울용 2점, 두루마기와 같은 모습이지만 옷깃이 직선으로 곧아 이름 붙여진 직령포가 춘추용과 겨울용 4점, 그리고 저고리 1점과 바지 1점 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철릭은 임진왜란 당시 그가 입었던 것으로 위급시에 양팔을 모두 뗄 수 있게 만들었다. 여름옷은 흰모시로 만들었고 겨울용은 두터운 솜을 넣고 누빈 것으로 길이도 여름용보다 더 길게 하여 방한용으로 입었다.
직령포는 흰 무명을 곱게 누빈 춘추용과 솜을 두텁게 두고 누빈 겨울용이 있다. 특히 명주직령포는 삭아서 솜만 남았으나 다른 옷들은 등솔기에서 소매 끝까지의 화장길이가 85㎝인데 비해 129㎝로 길다. 따라서 이것은 생존시에 입었던 옷이 아니라 시신을 입히기 위해 특별히 만든 수의로 보인다.
저고리는 겉은 굵은 면이고 속은 마로 안에 솜을 둔 것이고, 바지는 현재 솜만 남았으나 바지 형체가 뚜렷하게 남아있다. 이 옷들은 16세기말의 것들로 복식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고있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김덕령 장군 의복과 유적 안내문.
김덕령 장군 의복.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
1965년 광산 김씨의 무덤들이 모여있는 광주 무등산 이치(梨峙)에서 김덕령 장군의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400년 전의 의복들이다.
모시철릭.
무명겹직령(복원품)
중요민속문화재 제111호.
무명솜저고리(복원품)
김덕령 장군 친필문.
김덕령 장군 친필서.
충장공 유사(忠壯公 遺事)
관곽(棺槨)
시신을 모셔던 외곽과 내곽.
익호문(翼虎門)
내삼문.
충장공 제향행사 준비관계로 9월 16일까지는 분향 및 참배를 일시 중단한다는 안내문.
서재.
동재.
익호문 뒷편으로 충장사 사당.
김덕령 장군 묘소.
김덕령 장군 묘소에서 바라본 충장사 뒷편 모습.
탐방: 2015년 9월 13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무안. 유산정 유적비(遊山亭 遺蹟碑) (0) | 2015.11.09 |
---|---|
전북 남원. 사계정사(沙溪精舍) 전북 문화재자료 제166호. (0) | 2015.11.06 |
전북 남원. 광한루(廣寒樓) 국가지정 보물 제281호. (0) | 2015.10.28 |
전남 진도. 남도석성(南桃石城) 전남문화재 사적 제127호. (0) | 2015.10.12 |
전북 남원. 몽심재(夢心齋) 중요민속문화재 제149호. (0) | 201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