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을 따라

전남 영암. 함양박씨. 죽정서원(竹亭書院)

백산(栢山) 2021. 3. 15. 09:00

죽정서원(竹亭書院)

 

외삼문 숭봉문(崇奉門)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죽정서원길 19 (죽정서원)

 

 

죽정서원(竹亭書院)은 영암군 군서면 서호정 마을 한적한 곳에 있다.

 

1681년 박성건을 모시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그 후 박권, 박규정, 이만성, 박승원 등이 봉안되어 현재는 모두 5위를 제향하고 있다.

 

박성건은 '금성별곡'을 지은 국문학사상의 중요한 인물이며, 장수현감을 지내고 고향인 구림에 돌아와 후손의 교육과 향촌의 교화에 힘썼던 사람으로 선비들 사이에 널리 추앙을 받았던 인물이다.

 

사우에는 박성건을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박권·이만성·박규정·박승원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강례당은 강당으로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함양박씨 문중서원으로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향례 때 제관(祭官)들의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1868년 폐쇄되었다가 1961년에 중수복원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3칸 짜리 맞배지붕을 한 사당과 강당, 조양재영당, 화수정 등이 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죽정서원 입구.

 

숭봉문 우측의 공터에서 서원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다.

 

죽정서원묘정비와 죽정서원묘정비문 역문요약 안내판이 보인다.

 

 

죽정서원 묘정비.

 

 

죽정서원 묘정비명 역문 요약.

 

 

소원문(溯源門)

죽정사 내삼문.

 

 

죽정사(竹亭祠)

 

 

죽정사(竹亭祠) 현판.

 

 

충의사묘정비와 죽정서원중건사적비 및 조양재영당사적비가 차례대로 서있다.

 

 

중앙으로 죽정서원 강당인 강례당이 있으며, 좌.우로 거경재와 서성재가 자리잡고 있다.

 

 

거경재(居敬齋)

 

 

 

서성재(瑞醒齋)

 

 

 

조양재영당로 통하는 협문.

 

 

영당. 창기문. 죽정서원 재각 등이 일자로 배치되어 있다.

 

 

조양문.

 

 

조양헌영당(朝陽軒影堂)

 

조양재영당은 박성오(1589~1651)의 영당이다.
박성오의 본관은 함양, 자는 자안, 호는 조양재이다.

 

 

창기문(昌起門)

 

 

충의사(忠義祠)

 

 

죽정서원.

 

 

거경재와 죽정서원.

 

 

강례당과 영유재.

 

 

 

2021.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