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사(龍山祠)
진주정씨 정준일(鄭遵一) 사당.
용산사(龍山祠)는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철야마을에 자리하고 있으며 진주정씨 정준일(鄭遵一)
을 향사하는 사당이며 주위에 철천사와 만호정이 자리하고 있어 함께 둘러볼 수 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사당으로 들어가는 문이 잠겨 있어 담장 밖에서 촬영하는 수밖에 없었다.
*주소: 전남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53.
용산사는 1675년에 창건하여 194년 간을 유림이 향사해 오다가 1868년에 서원철폐로 인하여 훼철을 당하였다.
광복 직후인 1946년에 덕룡산 난봉하에 부설하고 향북당 정준일과 그의 맏아들인 초심당 정현 부자의 임진왜란 당시 충절과 도학을 추모하기 위해 유림들이 향사했다.
정준일(鄭遵一), 1547년(명종 2)∼1618년(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의병.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택중(擇中), 호는 향북당(向北堂). 나주군(羅州郡) 남평(南平) 출생으로 좌찬성(左贊成) 정계동(鄭繼童)의 현손(玄孫)이자, 교위(校尉) 정종요(鄭宗堯)의 아들이다.
그의 아들로는 정현(鄭晛). 정준(鄭晙). 정만(鄭晩) 3형제가 있는데, 맏아들 정현은 1606년(선조 39) 병오증광사마시(丙午增廣司馬試)에 진사 3등으로 합격하였다.
그는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문인으로 박종정(朴宗挺), 송제민(宋濟民)과 함께 제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제봉선생이 초토사(招討使)가 되어 의병을 일으키자 합세하여 맏아들 정현과 조카 정사(鄭賜) 등과 함께 종군하였으며 금산(錦山)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질병으로 귀향하였다.
금산전투 패전 후, 세속과의 인연을 끊고 후진양성에 힘써 덕룡학당(德龍學堂)을 짓고 후학을 가르쳤다.
후일 선무원종훈록(宣武願從勳錄)을 받게 되었으며 상호군(上護軍)에 추증되었다.
1678년(숙종 4)에 건립한 풍산사(楓山祠)에 김만영(金萬英). 임세정(任世鼎). 정익신(鄭翊臣)과 같이 배향되었다.
- 웹사이트 -
용산사 측문.
상덕재와 신도비.
강당 상덕재(尙德齋)
상덕재(尙德齋) 현판.
상덕재.
가선대부 상호군 향북당 정선생 신도비와 모성비(募誠碑)
가의대부 상호군 향북당 정선생 신도비.
嘉義大夫 上護軍 向北堂 鄭先生 神道碑.
모성비(募誠碑)
신도비와 모성비.
상덕재와 신도비.
내삼문.
*내삼문이 잠겨있어 용산사는 담장 밖에서 촬영했다.
용산사(龍山祠)
용산사(龍山祠)
*2024.05.06.
@필독 사항@
*상기 본문과 관련 없는 “비밀댓글”은
차단 후 삭제하겠습니다.*
'발길을 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홍성. 동주최씨. 기봉사(奇峰祠) 최영 장군 사당. (0) | 2024.08.28 |
---|---|
충남 홍성. 만해 한용운 문학체험관 (0) | 2024.08.16 |
전남 나주. 이천서씨. 철천사(哲川祠) (0) | 2024.06.19 |
전남 나주. 이천서씨 상서공파 세거지 철야마을. (0) | 2024.06.17 |
전남 영광. 강항 선생 정실. 함평이씨. 정렬문(旌烈門)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