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효사(忠孝祠)
농촌 마을 가운데 있어 농번기에는 농산물이나 농기구가 충효사 삼문 앞에
방치되어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불편하였다.
아래 사진은 지난 2018년 6월 10일에 다녀 가면서 촬영했던 그림입니다.
충효사(忠孝祠)
2018년 6월 10일에 다녀갈 때 모습.
향토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된 충효사 삼문 앞은
농업용구와 쓰레기로 볼성사납게 되어 있었다.
무안군 향토문화유산 제4호.
(지정일: 2009년 4월 16일 / 창건연대: 1906년 / 중건연대: 1981년)
*주소: 전남 무안군 운남면 저동길 57-14 (연리 539-1)
충효사는 광무 10년(1906) 운남면에 거주하는 김(金), 기(奇), 정(鄭), 이(李)씨의 4성 6인이 선대의 충효사상을 기리기 위해 창건된 사우이다.
김숭조와 임난공신인 충렬공 정기인 등 충신과 기응세, 김상경, 정시철, 김필홍, 김성태, 이이주 등 일곱 명의 효자를 배향하고 있다.
9인의 단비를 세운 후 1917년과 1921년 개수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1981년 사우로 개축한 것이다.
현재 아홉 분의 단비는 1981년 사우가 세워질 때 매몰되어 현재는 전해지지 않으며, 사우의 정면 좌측에는 1916년 세워진 충효단비가 있다.
크기/수량/규모 : 사당 1동 (향토문화유산)
- 무안군청 -
정기린(鄭麒麟, 1570~1593)은
함평군 수호리 출신의 무관으로 하동정씨 정만주(鄭萬珠)의 아들이다. 1585년 16세에 무과에 급제하여, 좌부장(左部將)을 거쳐 사복내승을 역임했다.
임진왜란 발발 후 고경명의 격문을 받고 의병을 모집하여 고경명의 막하로 들어갔다. 고경명의 의병부대와 함께 금산으로 갔지만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한 의병들이라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을 당해낼 수 없어 참패하고 거의 전원이 전사했다.
이때 살아남은 정기린은 순국한 의병들의 영령에 제사를 드린 후 의병을 다시 불러모았는데 그 수가 수백 명에 달했다. 정기린은 이들을 이끌고 김천일의 진영으로 들어가 활동했다.
그가 백의대검(白衣帶劍), 기백마(騎白馬), 건백기(建白旗) 삼백(三白)으로 호국의 뜻을 나타내니 선조 임금은 ‘백자장(白字將)’이라는 칭호를 내려주었다.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성이 함락될 때 탈출에 성공했으나 나중에 순절했다. 뒤에 선무원종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1649년(인조 27)에 정려와 함께 충렬(忠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Daum백과]
충효사.
충효사 현판.
충효단비명.
안쪽에서 본 충효사 삼문.
*2023년 06월 11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6호. 도산사(桃山祠) (112) | 2023.07.03 |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5호. 동암묘(東巖廟) (149) | 2023.06.30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3호. 청천사(淸川祠) (129) | 2023.06.26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2호. 우산사(牛山祠) (165) | 2023.06.23 |
전남 무안. 향토문화유산 제1호. 월산사(月山祠) (121)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