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원 각왜비(金應遠 卻倭碑)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288호
(2018.08.23)
*주소: 전남 장흥읍 평장리 602-1 (금안마을)
평장리 금안마을은 경주김씨 두계공파 세거지이다.
조선시대 고종 20년(1883년) 이후부터
- 정유재란 당시 의병장 김응원 공적 기린 행적비.
- 의병활동, 향촌사회 생활 알 수 있는 중요 기록 유산.
장흥군 소재 오우당(五友堂) 김응원 각왜비(卻倭碑)가 2018년 8월 23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288호로 지정됐다.
장흥읍 평장리 금안마을에 자리한 각왜비는 정유재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왜군을 물리쳤던 오우당(五友堂) 김응원(金應遠, 1569~1638)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1883년(고종 20년) 만들어진 의병장 행적비로 국난 극복의 원동력인 의병 활동의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 기록유산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당시 향촌사회 생활을 알 수 있는 문화재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시대 정유재란 시기에 활약한 김응원은 형 김응규(金應圭)공과 함께 1595년(선조 28) 의병을 모아 도고동(道高洞, 금안마을 뒷산)에서 훈련을 했다고 전해진다.
왜구가 쳐들어오자 수천 개의 등(燈)을 도고동 뒷산에 매달고 마을사람을 매복시켜, 왜군이 쳐들어오자 일제히 큰 함성을 지르게 했다.
많은 수의 의병이 매복해 있는 것처럼 꾸미자 왜군은 달아나 버렸다고 전한다.
이 같이 용맹한 의병행적을 기려 후대(後代)에 위문덕(魏文德: 1704-1784)이 행장(行狀)을 지었고, '호남절의록'에도 올라있다.
*위문덕(魏文德): 장흥위씨 실학자 존재 위백규 선생 부친이다.
- 웹사이트 -
의인문(義仁門)
김응원 각왜비 안내판.
각왜비각 중수기.
의인문.
각왜비각.
각왜비각 현판.
각왜비각 중수기.
오우당 각왜비(五友堂 卻倭碑) 기문.
오우당 각왜운.
오우당 김응원 각왜비.
비문이 잘 안 보인다.
비문이 잘 보이지 않는다.
조선시대 장흥, 강진행로
각왜동 유적 5백미터로 표시하고 있다.
2023 계묘년 춘절 근견.
김응원 각왜비 전각.
*2023년 11월 26일.
'문화재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장흥. 해동사(海東祠) 안중근 사당.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50-1-51. (191) | 2024.03.20 |
---|---|
전남 장흥. 인천이씨. 영석재(永錫齋) 전남 문화재자료 제69호. (195) | 2024.03.18 |
전남 나주. 나주나씨. 삼강문(三綱門). 전남 문화재자료 제91호. (152) | 2024.02.19 |
전남 해남. 나주임씨. 효열부 정려(孝烈婦 旌閭) 해남군 향토유적 제13호. (190) | 2024.02.07 |
전남 무안. 나주임씨. 식영정(息營亭) 한호 임연(林堧) 강학교류처. (184)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