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재 5

전남 장성. 홍길동테마파크 & 청백당.

홍길동 테마파크 & 청백당 안내도.  *소재지: 전남 장성군 황룡면 홍길동로 431(아곡리 303)  *아래 홍길동테마파크 게시물은 홍길동 생가, 홍길동 전시관 등을 촬영하다가카메라 배터리 잔량이 다하여 부득이 2015년 5월분을 재사용합니다.   홍길동 테마파크. 소설 속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민중의 영웅 홍길동이 조선왕조실록의 충분한 고증을 거쳐 장성군 화룡면 아치실에서 실존인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생가터는 원형대로 보존 자리를 옮겨 생가복원 및 전시관에 출토유물 및 홍길동 관련자료(영상물, 연구논문, 문화작품 등), 다양한 캐릭터, 입체영상물이 전시되어 있고 홍길동축제를 비롯한 홍길동 문화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장성군의 관광 명소입니다. 특히 여름철 청소년 야영장은 테마파크를 정원 삼아 산책할 수..

발길을 따라 2024.12.20

전북 정읍.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武城書院) 문화재 지정 사적 제166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무성서원 홍살문.  문화재 지정 사적 제166호.(1968.12.19 지정)  201년 7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곳으로한국에서 14번째로 지정된 1,100년의 역사를 품은 곳입니다.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 (원촌1길 44-12)      무성서원(武城書院) 전경. 외삼문 역할을 하는 현가루(絃歌樓)가 정면에 자리하고 있다.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무성서원 표지판과 각종 공적비.   공적비 비림. 우측에서 두번째 비석은 흥선대원군의 형인 '이최응 불망비'입니다.당시 영의정을 지냈던 이최응으로 도움으로 서원철폐령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현가루(絃歌樓)  현가루는 '거문고를 타며 노래를 그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천자문의 현가주연 ..

문화재 탐방 2020.02.10

전북 정읍. 남고서원(南皐書院) 문화재자료 제76호.

정읍. 남고서원 홍살문. 문화재자료 제76호.(1984.04.01. 지정)  다녀온 날: 2019년 5월 5일. 전북 정읍시 북면 보림리 880-1 (보림1길 392)    남고서원 외삼문.  이 서원은 조선 선조 10년(1577)에 창건하고, 숙종 11년(1685)에 사액되어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그의 문하 건재(健齎) 김천일(金千鎰)을 배향하였던 서원이다.  그 후 고종 5년(1868)에 서원 철폐령으로 철거되었던 것을 후손들이 광무 3년(1899)에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고서원지》에는 사액서원이 헐리던 날 호랑이가 대낮에 나무 위에 올라가 변고의 조짐을 보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외삼문의 현판 남고서원.  (정묘년 9월에 썼다고 했는데, 정묘년이면 서기 1927년인지 1987년..

문화재 탐방 2019.05.22

전남 강진. 강수재(講修齋)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

강수재 전경.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2004년 11월 01일)  전남 강진군 병영면 용두길 23-24 (도룡리 37)    강수재 현판. 현판은 염재 송태회의 필체이다.  17세기 해암 김응정 선생의 서당.조선시대 말 연파 김병휘 선생이 제자들을 가르치기도 함.   연파유업(蓮坡遺業).  꿈의 백구(白鷗)되여 강상(江上)의 나라 뵌다.나 난니 채 날며는 구중천(九重天)의 가련마는 /굴음의 이슬이 짓터시니 날애 저잘가 못 나노라. 꿈에 흰 갈매기 되어 강물 위를 날아본다. 날아서 계속 오르면 하늘에서 가장 높은 곳도 갈 수 있겠지만  /비구름이 잔뜩 끼어 있어서 날개가 물에 젖어 못 날을까 걱정되노라.  이 시(詩)는 전라도 강진군 출신의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시조문학의 큰 별로 알려진 해암(懈菴) 김..

문화재 탐방 2018.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