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재 3

전남 나주. 함평노씨. 거평사(居平祠)

거평사(居平祠) 함평노씨 3대 사당. 나주 거평사, 무안 학산사, 영암 관봉사 중 하나, *주소: 전남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 644-14. (체암로 348-11)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 동아마을에 있는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활약한 노인(魯認) 등 3인을 배향하고 있다. 거평사(居平祠)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금계(錦溪) 노인(魯認 1566~1622)을 기리기 위하여 1789년(정조 13) 노인의 출생지인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 무학산(舞鶴山) 기슭에 세운 사당이다. 창건 당시 명칭은 금계사(錦溪祠)였다. 1814년(순조 14) 노인의 9대조인 무열공 노신(魯愼 1336~?)을 추배하면서 명칭을 거평사(居平祠)로 고쳤다. 1868년(고종 5)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고, 1882년부터 제단을 설치하여..

발길을 따라 2023.08.16

전북 고창. 무장향교(茂長鄕校) 문화재자료 제107호.

무장향교 홍살문.  무장향교 대성전. 문화재자료 제107호.(1985.08.14)  전북 고창군 무장면 교흥리 109-1 (교흥교촌길 9)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무장향교는 조선 세종 2년(1420)에 처음 지었는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그 뒤 헌종 8년(1842)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홍살문 등이다.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들과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

문화재 탐방 2019.11.01

전남 장성. 봉암서원(鳳岩書院)

봉암서원(鳳岩書院) 전남기념물 제54호. 1981년 10월 20일 지정.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화차길 159.   망암 변이중(1546∼1611)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변이중은 조선 중기 문신이며 학자로 군사 전략에 밝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큰공을 세운 분이다.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과 『화차도설(火車圖說)』 등의 논문을 써서 화차를 제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숙종 23년(1697)에 세운 이 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8년(1871)에 폐쇄된 후 1976년과 1984년에 새로 복원한 것이다. 변경윤· 윤진· 변휴· 변윤중을 추가로 모셔 현재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대문 격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쪽에 교육 공간을 조성하고 뒤..

문화재 탐방 2016.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