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마루 4

전남 장흥. 장흥위씨. 영귀정(詠歸亭) 위계민 복설 정자.

영귀정(詠歸亭) 장흥위씨 위계민이 부친 손암공 위준권을 기리며 지은 정자. *소재지: 전남 장흥군 유치면 장흥대로 4886 (송정리 산 90-9) 영귀정(詠歸亭)은 장흥댐의 건설로 이전하기 전에는 유치면(有治面) 단산리(丹山里)의 마을 앞 강 건너 봉명산(鳳鳴山) 산자락에 있었으나 댐의 건설로 유치면 송정리(松亭里) 산 90-9번지로 옮겨져 있다. 영귀정이 1895년 이전에 창건되었지만 장흥위씨 복재(復齋) 위계민(魏啓玟, 1858~1925)이 1923년에 다시 지은 정자라고 하겠다. 기우만(奇宇萬) 복재기(復齋記)가 1903년의 것이며 영귀정의 상량문 가운데 1921년의 것도 있다. 복재 위계민은 선고(先考)인 손암공(遜菴公) 위준권(魏準權)의 유택을 산정(山頂)에 모시고 그 아래에 터를 닦은 지 4년..

발길을 따라 2023.12.08

전남 보성. 중요민속문화재 제162호. 열화정(悅話亭)

열화정(寶城 悅話亭) 중요민속문화재 제162호. (1984년 1월 14일, 지정) *주소: 전남 보성군 득량면 강골길 32-17 (오봉리 230) 얼마 전에 종영된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촬영지라고 소문이 나서 주말이면 많은 방문객이 찾아 들고 있다..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남도 바닷길에 선정된 보성 열화정 안내문. 보성 열화정 안내문. 열화정(悅話亭)은 조선시대의 정자로써 국가민속문화재 제162호로 1984년 1월 14일 지정되었다. 1845년(헌종 11)에 조선 후기의 문신 이제(怡齊) 이진만(李鎭晩:1795~?)이 후진양성을 위해 건립했다 한다. 강골 마을회관 부근에 차를 주차해 두고 마을 큰길(차길)에서 곡선도로로 이어지는 곳에서 골목길로 약 100m쯤을 들어가니 좌측의 언덕에 드디어 열..

문화재 탐방 2022.09.30

전남 강진. 여택정(麗澤亭)과 강회정(講會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9호.

강진 여택정(麗澤亭)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9호.   전남 강진군 대구면 수동길 51-1(수동리 499-1)  강진 여택정(麗澤亭)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 형식으로 되어있는데 평면과 구조는 이 지역의 정자와 다른 독특한 모습으로 되어있다. 중앙 2칸은 모두가 수납공간(광)으로 꾸며져 있고 양측은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누마루로 구성되어 있고 누마루 3면은 모두 벽체 구성없이 열려있다.  양측 2개의 누마루에서는 규모나 부재사용면에서 다르게 구성된 특징이 있으며, 여택정(麗澤亭)은 강회정(講會亭)과 함께 향촌공동체의 중심공간으로서 조선후기 공동체의 조직과 운영에 관한 자료들이 전해져 향토사(鄕土史)나 건축사적으로 연구가치가 충분한 유적이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측면에서 본..

문화재 탐방 2015.04.20

전남 영암. 집영제(集英齊)

영암 집영제 전경.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6호. 전남 영암군 학산면 은곡길 18 (은곡리)    영암 집영제(集英齊)는 서당으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19세기 말에 지은 것으로 본채와 대문채, 부속채로 이루어져 있다.  본채인 집영제(集英齊)는 앞면 3칸· 옆면 2칸의 몸체에, 앞면 1칸· 측면 3칸 반의 날개채가 몸채보다 1칸 내밀어져 H자형을 이루고 있다. 몸채는 3칸을 모두 대청으로 하여 6칸 규모의 커다란 마루 공간을 만들어 서당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하였다. 대청 앞은 문을 달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몸채 양쪽에 있는 날개채는 맨 앞 돌출된 1칸에 누마루를 설치하고 나머지 뒤칸은 방으로 구성하였다. 지붕의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며, 누마루에 원형의 돌기둥을 세웠다...

문화재 탐방 201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