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채 4

전남 함평. 석정 안후덕 선생 생가(石汀 安厚德 先生 生家)

석정 안후덕 선생 생가.(石汀 安厚德 先生 生家)  *주소: 전남 함평군 월야면 예동길 103-26.     석정 안후덕 선생(본관 죽산)은 함평군 월야면 예덕리 예동 마을에서 출생(1905. 11. 11)하여 휘문중학교 수학 중 일강 김철 선생을 만나 임시정부운영자금을 내고 백범 김구 선생 애국단에 가입(19세), 활동 중 군자금 모집 사명을 띄고 일시 귀국하여, 전 재산을 저당하고 당시 거금 45,000원을 임시정부 운영자금으로 헌납(21세), 중국 본부 한인청년동맹에 가입, 상해총회에서 상해지부위원장 선출, 항일격문 상해 시내에 살포,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 중 다시 독립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귀국 중 체포되어 징역 5년을 선도 받고 복역, 출옥 후 42세의 짧은 생을 마칠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위해 ..

발길을 따라 2024.05.31

전남 영암. 최성호 가옥(崔成鎬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4호.

영암 최성호 가옥(崔成鎬 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64호.  전남 영암군 덕진면 영보정길 10-14 (영보리 294-1)   조선 후기 전형적인 남도 부농의 집으로 19세기 말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20세기 중반에 고친 것으로 추정된다.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 그리고 헛간채가 사방에 배치되어 작은 규모이지만 짜임새 있는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안동의 'ㅁ'자 형식과는 다른 각각의 독립된 집 네 채가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문간채 서쪽 끝에 대문이 있고, 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사랑채가 보이고 우측으로 헛간채가 이어지며, 마당을 지나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아담한 규모의 '一'자형 집으로 서쪽부터 부엌·큰방·대청·작은방이 있으며, 부엌을 제외하고 앞쪽에 툇마루가 있다. 작은방 뒷쪽에는 아궁이가..

문화재 탐방 2017.04.11

전남 보성. 이용우 가옥(李容禹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보성 이용우 가옥(李容禹 家屋)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전남 보성군 보성읍 예동길 46-5(옥암리 580)  옥암리 마을에 들어서면 맨 먼저 이용우 가옥을 만나게 되는데, 안타깝게도 대문이 잠겨져 있어 내부를 자세히 살펴볼 수가 없다. 하는 수없이 가옥 주위를 두루 살펴보니 가옥을 대대적으로 보수공사 중이었다. 보성 이용우 가옥은 중요민속자료 제163호로 1984년 1월 14일 지정되었으며 1900년대 초에 지은 마을지주의 집으로 안채는 1908년에 지었고 사랑채도 당시에 지었다고 생각되며, 곳간채는 이보다 늦게 지어졌으며. 대문채와 헛간채는 지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았다 한다.  보성 이용우 가옥 안내문.   중요민속자료 제163호.  이용우 가옥 비석.   초가로 된 바깥채. 기와로 바꿀 예정인지 ..

문화재 탐방 2016.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