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 4

전남 장성. 이천서씨. 서능 정려비(徐稜 旌閭碑)

서능(徐稜) 정려비(旌閭碑)  우측은 정려각이고 좌측은 서능정원에서 약을 다리고 있는 형상.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봉암로 1193.  서능(徐稜)은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은 이천(利川)이며, 내사령 서희의 후손이다. 자는 대방(大方), 호는 송암(松庵), 시호는 절효(節孝)이다. 고려 고종(재위 1213∼1259) 때의 문신이자, 이름난 효자였다.  이 정려비(旌閭碑)는 고려 고종 때 문하시중을 지낸 서능(徐稜) 선생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선조 11년(1578년)에 건립한 것이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약관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 벼슬길에 나아가 여러 관직을 거쳐 문하시중에 올랐다. 선생이 문하시중으로 있을 때 선생의 모친이 병이 들자 선생은 벼슬을 ..

발길을 따라 2024.11.15

전남 나주. 월정서원(月井書院)

나주. 월정서원(月井書院) *소재지: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2길 188 (금안리 406: 광곡마을) 월정서원(月井書院) 월정서원(月井書院)은 1659년(효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순(朴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에 '월정(月井)'이라 사액되었으며, 1789년에 김계휘(金繼輝)· 심의겸(沈義謙)· 정철(鄭澈)· 홍천경(洪千璟)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0년 유림에 의하여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내삼문(內三門), 4칸의 강당, 외삼문(外三門), 3칸의 고직사(雇直舍), 행랑 등이 있다. 사우에는 박순· 김계..

발길을 따라 2023.09.06

광주 광산. 용아 박용철 생가. 광주 기념물 제13호.

용아 박용철 생가. 광주 기념물 제13호.  광주시 광산구 소촌로46번길 24. (소촌동 363-1)  기념물 제13호. 용아 생가 표지석.  시인 용아 박용철의 생가는 1986년에 광주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에는 당시의 광산군 송정읍 솔머리 마을에서 부농(富農)의 아들로 태어나 광주 공립보통학교를 다니고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생활을 하며 졸업하고 귀향하여 문학활동에 전념했다.  고교시절에는 지하신문 목탁을 발간하여 항일독립운동 정신을 고취시켰고 이곳에서 고향 사람들에게 개화문명을 소개하고 자주독립정신을 깨우기 위해 노력하다  34세의 아까운 나이로 세상을 떠난 한국시단의 서정시 발전에 선구자 충주박씨로 박상(朴祥)과 박순(朴淳)의 후손 용아 박용철(朴龍喆 1904∼1938)..

문화재 탐방 2018.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