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호남 2

전남 영암. 밀양박씨. 삼충각 (전남 기념물 제108호)

영암. 밀양박씨. 삼충각(靈巖. 密陽朴氏. 三忠閣) 전라남도 기념물 제108호. (1987.06.01. 지정) *주소: 전남 영암군 신북면 종오리길 28 (갈곡리 588) 밀양박씨 규정공파 후 주부공 3세손 임진왜란 때 순절한 3부자 충절을 기리기 위한 영암 삼충각. 밀양박씨 정려 삼충각. 삼충각 일각문. 삼충각 안내문. 삼충각은 영암군 신북면 종오마을에 위치하여 임진왜란 때 명량해전에서 순국한 구무재 박형준(1548~1592)과 그의 아들인 효남(孝男: 1568~1592)·호남(好男: ?~1592) 등 삼부자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정려이다. 1846년(헌종 12)에 도유가 발의하여 상소하자 1860년(철종 11)에 명정이 내려졌다. 구무재(舊武齋) 박형준(朴亨俊)은 조헌(趙憲)의 문하에서 종류하..

문화재 탐방 2021.06.25

전남 영암. 삼충각(三忠閣)

영암 삼충각(三忠閣) 전경. 전라남도 기념물 제108호.  전남 영암군 신북면 종오리길 28 (갈곡리)  영암 삼충각(三忠閣)은 임진왜란 때 명량해전에서 순국한 박형준(1548∼1592)과 그의 아들인 박효남(1568∼1592)· 박호남(?∼1592) 등 3부자(父子)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碑)와 이를 보호하고 있는 비각(碑閣)이다. 조선 헌종 12년(1846)에 이 지방 유림들이 상소문을 올려 철종 11년(1860)에 지은 것이다. 고종 38년(1901)과 1932년 2차례 보수를 하였고 1946년에 다시 지었으며, 1982년 지금의 모습으로 고쳐 세웠다. 규모는 앞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의 간결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나라에서 이들을 충신으로 인정하면서 내려준..

문화재 탐방 201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