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정철 9

전북 순창. 하서 김인후.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 전북 문화재자료 제189호.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전라북도지정 문화재자료 제189호(2012년 11월 02일. 지정) *하서 김인후 선생 강학당. *주소: 전북 순창군 쌍치면 둔전2길 83.  조선 중기 대표적 성리학자로 인종의 세자시절 스승이었던 하서 김인후 선생(1510~1560)이 명종 3년(1548)에 지은 후학을 가르치는 강학당으로 1796년 정조 임금이 그 존속여부를 물었을 만큼 널리 알려진 곳이다.송강 정철 선생을 비롯해 조희문, 양자징, 기효간, 변성온 등 당대 유명학자들이 하서 김인후 선생의 가르침을 받았던 곳으로 호남 유학의 산실로 불렸다.훈몽재는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몇 차례 옮겨 복원했으나 한국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었다.이곳은 원래 훈몽재 옛 터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유지 옆에는 ..

문화재 탐방 2025.04.07

전북 순창. 전북 문화재자료 제189호.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 전라북도지정 문화재자료 제189호 (2012년 11월 02일. 지정) *주소: 전북 순창군 쌍치면 둔전2길 83. 조선 중기 대표적 성리학자로 인종의 세자시절 스승이었던 하서 김인후 선생(1510~1560)이 명종 3년(1548)에 지은 후학을 가르치는 강학당으로 1796년 정조 임금이 그 존속여부를 물었을 만큼 널리 알려진 곳이다. 송강 정철 선생을 비롯해 조희문, 양자징, 기효간, 변성온 등 당대 유명학자들이 하서의 가르침을 받았던 곳으로 호남 유학의 산실로 불렸다. 훈몽재는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몇 차례 옮겨 복원했으나 한국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곳은 원래 훈몽재 옛 터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유지 옆에는 2009년도에 새로 복원된 훈몽재와..

문화재 탐방 2023.01.09

전남 장흥. 기양사(岐陽祠) 선시보주(選詩補註) 전남 유형문화재 제207호.

기산리 동계마을 앞에 세워진 기양사 이정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7호.(지정: 1999년 2월 26일)  전남 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65 (동계길 33-26)   관서별곡의 백광홍을 배향한 기양사(岐陽祠)!  장흥 사자산 아래의 세 마을은 기산마을, 동계마을, 비동마을. 그 중 가운데에 있는 동계마을에는 기양사(岐陽祠)라는 사원이 있다. 이곳은 가사문학으로 널리 알려진 담양의 소쇄원에 버금가는 의미를 가진 곳이다.  조선 8대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가사문학의 효시인 관서별곡을 남기는 등 가사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기봉 백광홍(1522~1556)선생을 배향하고 있는 기양사(岐陽祠) 그동안 가사문학이라고 하면 관동별곡을 떠올렸고, 송강 정철을 떠올렸다.  그러나 백광홍 선생의 관서별곡은 송강 ..

문화재 탐방 2019.10.11

전남 나주. 양벽정(풍산홍씨 정자)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5호.

양벽정 전경. 나주 향토문화유산 제35호. (2013.11.11. 지정)  양벽정은 풍산홍씨 홍징(洪澄)이 건립한 정자로 1949년부터 도래마을 사람들의 합동세배장소로 1974년부터 "도래의 날" 행사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7-4.    양벽정 솟을대문.   내부에서 바라본 양벽정 솟을대문. 2층으로 된 솟을대문은 흔히 볼 수 없는 대문이다.   양벽정.  양벽정은 나주 도래 한옥마을 내에 있는 정자로서 풍산홍씨의 홍징(洪澄;1515~1593)이 창건하였으며 벼슬은 선공감역(善工監役)과 성균사업(成均司業)을 지냈으며 이곳 양벽정에서 소쇄원의 양산보. 송강 정철, 최시망 등 당대 명현들과 교류했다고 합니다.  현재 풍산홍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문화재 탐방 2019.08.16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環碧堂) 명승 제107호.

광주. 환벽당(環碧堂) 명승 제107호. (2013.11.06. 지정) 환벽당(環璧堂)은 김윤제(金允悌: 1501-1572)가 나주목사를 그만두고 후학을 가르치며 여생을 보낸 정자로써 김덕령의 조부 김윤효(金允孝)의 동생이다. 김덕령 장군이 어릴 때 김윤제에게 글을 배우던 곳이며, 송강 정철도 이곳에서 공부했다.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387 (환벽당길 10) 우암 송시열 선생이 썼다는 환벽당(環碧堂) 현판. 환벽당(環璧堂)은 사촌 김윤제(沙村 金允悌, 1501~1572)가 노년에 자연을 벗삼아 후학양성을 목적으로 건립한 남도지방의 전형적인 유실형(有室形)정자로 가까이에는 무등산 원효계곡의 계류가 흐르며 계곡아래 증암천(甑巖川) 주변에는 배롱나무가 아름다운 장관을 이뤄 자미탄(紫薇灘)이라 ..

문화재 탐방 2019.08.12

전남 장흥. 기양사(岐陽祠) 전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07호.

장흥 기양사(岐陽祠) 전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07호.지정일: 1999년 2월 26일. 전남 장흥군 안양면 동계길 33-26.   관서별곡의 백광홍을 배향한 기양사(岐陽祠)! 장흥 사자산 아래의 세 마을은 기산마을, 동계마을, 비동마을. 그 중 가운데에 있는 동계마을에는 기양사(岐陽祠)라는 사원이 있다. 이곳은 가사문학으로 널리 알려진 담양의 소쇄원에 버금가는 의미를 가진 곳이다.  조선 8대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가사문학의 효시인 관서별곡을 남기는 등 가사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기봉 백광홍(1522~1556)선생을 배향하고 있는 기양사(岐陽祠) 그동안 가사문학이라고 하면 관동별곡을 떠올렸고, 송강 정철을 떠올렸다.  그러나 백광홍 선생의 관서별곡은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보다 25년을 앞서 불려지..

문화재 탐방 2016.11.05

전남 담양. 연일정씨. 송강정(松江亭) 전남 기념물 제1호.

송강정(松江亭) 입구. 전라남도 기념물 제1호. 소재지: 전라남도 담양군 송강정로 232. 정송강 유적은 조선 중기 학자이자 정치가인 정철(1536∼1593)이 성산에 와 있을 때 머물렀던 곳으로, 송강정과 식영정으로 구성되어 있다.정철은 호가 송강으로, 명종 16년(1561) 27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 뒤로 많은 벼슬을 지내다가 정권다툼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인 성산에 내려와 『성산별곡』, 『사미인곡』 등의 문학작품을 지었다. 송강정은 앞면 2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앞면에는 '송강정'이라는 현판이, 옆면에는 '죽록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식영정은 앞면 2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송강정과 마찬가지로 팔작지붕이다...

문화재 탐방 201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