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백씨 6

전남 장흥. 수원백씨. 백수장(白壽長) 별묘(別廟)

입구에 일곡선생 백공 행적비가 세워져 있다. 일곡선생이 백씨인줄 알겠으나 어떤 인물인지 자세히는 모르겠음. 정해군(貞海君) 백수장(白壽長) 별묘(別廟)와 진수재(進修齋) *주소: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금길 24-62 (상금리 579)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 579 (상금길 24-62)에는 조선 중종 때 공조판서를 지낸 정해군(貞海君) 백수장(白壽長)의 별묘가 위치한다. 수원백씨 후손들의 세거지인 용산면 상금마을 진수재(進修齋) 좌측 위에는 별묘(別廟)가 있다. 백수장(白壽長)의 행장을 살펴본다. ◆백수장(白壽長: 1469~1543년) : 수원人으로 자는 팽조(彭祖)이다. 평택·연기현감을 지내고 호조판서에 추증된 백맹하(白孟夏)와 배(配) 증(贈) 정부인(貞夫人) 공주이씨 아들로 장흥군 안양면 동촌에서..

발길을 따라 2024.03.27

전남 장흥. 기양사(岐陽祠) 선시보주(選詩補註)

장흥. 기양사(岐陽祠) 전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207호. (지정일: 1999년 2월 26일) *소재지: 전남 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65 (동계길 33-26) 관서별곡의 백광홍을 배향한 기양사(岐陽祠) 장흥 사자산 아래의 세 마을은 기산마을, 동계마을, 비동마을. 그 중 가운데에 있는 동계마을에는 기양사(岐陽祠)라는 사원이 있다. 이곳은 가사문학으로 널리 알려진 담양의 소쇄원에 버금가는 의미를 가진 곳이다. 조선 8대 문장가 중 한 사람으로 가사문학의 효시인 관서별곡을 남기는 등 가사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기봉 백광홍(1522~1556)선생을 배향하고 있는 기양사(岐陽祠) 그동안 가사문학이라고 하면 관동별곡을 떠올렸고, 송강 정철을 떠올렸다. 그러나 백광홍 선생의 관서별곡은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보다..

문화재 탐방 2022.02.21

전북 고창. 덕산사(德山祠)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

고창. 덕산사(德山祠)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관리번호: 51-1-24.지정: 2003년 5월 30일.관리자: 흥덕향교.  추모대상. 구파(鷗波) 백정기(白貞基, 1896~1934)갑운(甲雲) 백인수(白麟洙, 1856~1910) 근촌(芹村) 백관수(白寬洙, 1889~1951)     전북 고창군 성내면 덕산리 43-2 (도덕길 68)    덕산사는 이 고장 출신 독립유공자 백정기, 백인수, 백관수를 추모하기 위하여 1947년 건립되어 1995년 재건되었다.      *구파(鷗波) 백정기(白貞基)는 1896년 전남 부안군 동진면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같은 해 8월 동지 4명과 함께 인천에 있는 일본군 시설물을 파괴하려다가 사전에 발각되자 만주로 피신하였다.  ..

문화재 탐방 2019.12.04

전남 해남.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옥산서실(玉山書室) 전경.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1991.07.19) 옥산서실(옥봉사)은 옥봉 백광훈 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우이다.  다녀온 날: 2019년 7월 17일.  전남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129 (송산길 37-9)    옥산서실 외삼문.  조선 선조 때의 문장가인 옥봉 백광훈(1537∼1582)과 그의 아들인 송호 백진남(1564∼1618) 등 후손들과 관련된 유품들로, 옥봉유물관에 모두 모아 보관하고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그 가운데 9종 113점이다. 지정된 유물을 보면 『백광훈교첩』, 유학백진남백패, 『옥봉집』, 『가장필적』, 『장서동수창록』, 백옥봉 목판, 한석봉서증백진사 목판, 『옥봉집』목판, 영여 등이 있다. 『옥봉집』은 백광훈의 시문을 보아 백진남이 간행한 것이며..

문화재 탐방 2019.07.26

전남 해남.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남 유형문화재 제181호.

해남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1991.07.19)  전남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129 (송산길 37-9)  조선 선조 때의 문장가인 옥봉 백광훈(1537∼1582)과 그의 아들인 송호 백진남(1564∼1618) 등 후손들과 관련된 유품들로, 옥봉유물관에 모두 모아 보관하고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그 가운데 9종 113점이다. 백광훈은 최경창, 이달과 함께 3당 시인으로 불리었으며, 조선 8대 문장가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의 아들인 백진남은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의 휘하에서 전쟁에 참가하였다. 지정된 유물을 보면 『백광훈교첩』, 유학백진남백패, 『옥봉집』, 『가장필적』, 『장서동수창록』, 백옥봉 목판, 한석봉서증백진사 목판, 『옥봉집』목판, 영여 등이 있다. 『옥봉집』은 백..

문화재 탐방 20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