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 단군성전(檀君聖殿) 단군성전 전경. 다녀온 날: 2019년 12월 8일. 전북 정읍시 하모동 392-1 (모촌길 50-33) 단군성전(檀君聖殿)은 단군전, 단군사묘(檀君祠廟), 단군사우(檀君祠宇) 등으로 불리며, 한국의 국조(國祖)인 단군의 영정이나 위패 등을 두고 봉향하는 사당을 지칭한다. 단군성전의 경우, 1973년 5월 서울특.. 발길을 따라 2020.04.03
전북 고창. 운곡서원(雲谷書院) 운곡서원 전경. 다녀온 날: 2019년 4월 28일. 전북 고창군 아산면 운곡서원길 337 (운곡리 179) '물비늘처럼 구름 위에 떠있는 운곡서원' 안내문. 운곡서원(雲谷書院)은 지방 유림들이 중국의 회암(晦庵) 주희(朱熹)[1130~1200], 백암(白巖) 김제(金濟)[1362~?], 농암(籠巖) 김주(金澍)[1365~?], 강호(江湖).. 발길을 따라 2019.10.25
전남 강진. 수암서원(秀岩書院) 수암서원(秀岩書院) 통로석. 전라남도 기념물 제39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동령길 51 (수양리) 수암서원(秀岩書院)은 이선제·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 등 5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필문 이선제(생몰년 미상)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조참판과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세종실록』편찬과 『고려사』의 내용 중 사실과 다른 점을 고쳐서 편찬하는 일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조원· 이중호· 이발· 이길 등은 모두 이선제의 자손으로 여러 벼슬을 하였던 분들이다. 인조 2년(1624)에 세운 이 서원(書院)은 고종 5년(186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어 1901년에 임시로 단을 세워 제사를 지내오다가 1919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사당과 강당,.. 문화재 탐방 2015.05.15
전남 여수. 충민사(忠愍祠) 충민사(忠愍祠) 입구. 전남 여수시 덕충동 1808 외. 충민사 종합안내도. 충민사는 충무공 이순신, 의민공 이억기, 충현공 안홍국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충민사 종합안내도. 벅수(돌장승) (충민사 입구에 세워져 있으며 건너편으로 유물 전시관이 보인다) 숭모문(충민사 외삼문) 충의문(충.. 이순신 유적 201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