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비어약 6

전남 무안. 나주임씨. 식영정(息營亭) 한호 임연(林堧) 강학교류처.

무안 식영정. 한호 임연의 강학교류처 식영정(息營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지정: 2002.04.19) 관리자: 나주임씨 한호공파 종중. *주소: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호반로 562-15)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복거록(卜居錄)』에 잘 나타나..

문화재 탐방 2024.02.05

전남 보성. 진원박씨. 죽천 박광전. 죽천정(竹川亭)

죽천정(竹川亭) 진원박씨 죽천 박광전 선생의 정자로써 지난 2015년 11월 22일에 다녀온 바 있는데 그때에 비하면 관리가 다소 부실한 것 같다. *주소: 전남 보성군 노동면 광곡리 209-4.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 1526~1597(중종 21년)은 전라남도 보성군 조양리(兆陽里, 현 조성면 용전리)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학문의 재능도 뛰어 성리학자로서 성리학 이념을 적극적으로 사회적 실천한 고경명과 함께 의리에 사나이로 지금도 만인에게 추앙 받은 호남이 낳은 출중한 인물 중에 빼놓을 수 없는 '호남의 5현(賢)'임에 틀림없다. 죽천정은 그가 강학하며 기거했을 당시에는 초당이었으며 이후 후손들이 죽천 선생의 유지를 기리기 위해 1946년에 중건한 것이다. 정자 규모는 단층의 팔작지붕 골기..

발길을 따라 2022.11.07

전남 무안. 한호 임연 강학교류처 식영정(息營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237호.

무안 식영정 전경. 한호 임연 강학교류처 식영정(息營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지정: 2002.04.19) 관리자: 나주임씨 한호공파 종중.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호반로 562-15)   무안 식영정 안내문.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

문화재 탐방 2019.10.04

전남 무안. 식영정(息營亭) 영산강 제2경 몽탄노적. 전남 문화재자료 제237호.

무안. 식영정(務安 息營亭)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 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복거록(卜居錄)』에 잘 나타나 있고 교류한 문인도 많다. 식영정(息營亭)은 창건주 임연의 증손인 노촌 임상덕 等이 代를 이어가면서 교류..

문화재 탐방 2018.06.22

전남 무안. 나주임씨. 식영정(息營亭) 전남 문화재자료 제237호.

무안 식영정(務安 息營亭)  전경.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37호. 전남 무안군 몽탄면 이산리 551. 식영정(息營亭)은 한호(閑好) 임연(林堧: 1589∼1648)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이호(梨湖)]과 그 주변의 경관과 어울려 많은 시인 묵객들이 찾은 곳이다. 그리고 임연(林堧)의 증손으로 『동사회강』을 지은 문인 학자인 노촌(老村) 임상덕(林象德, 1683∼1710)이 제현과 교류하는 등 무안 몽탄 이산리의 나주 임씨 강학교류 공간이었다. 무안 이거와 경관, 정자건립 등에 관해서는 1643년경에 임연(林堧)이 지은 『복거록(卜居錄)』에 잘 나타나 있고 교류한 문인도 많다. 식영정(息營亭)은 창건주 임연의 증손인 노촌 임상덕 等이 代를 이어가면서 교류공간으..

문화재 탐방 201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