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모당 10

전남 화순. 주자묘(朱子廟)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53호.

연자루(燕字樓)주자묘 입구에서 가장 먼저 대하는 루각이다.     주자묘(朱子廟)   화순군향토문화유산 제53호.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천덕리 337 (회덕길 14-34)   주자묘(朱子廟)는 주희(朱熹)[1130~1200]를 주향으로 모신 사당이다.  그는 송나라 때 사유학자로, 신유학(성리학)을 집대성하여 주자학의 시조가 되었다. 조선 왕조는 초기부터 성리학을 국정 운영에 적극 도입하였다. 이 사당은 처음에는 신안주씨(新安朱氏) 문중에서 1905년에 영모당(永慕堂)으로 창건하였다가 1978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새롭게 재축을 한 것이다. 1978년에 철근 콘크리트조(한옥형)로 새로 건립하였다. 현재 사당 안에는 주자(朱子)의 증손이자 신안주씨의 시조인 청계공 ’주잠(朱潛)을 포함하여 모..

문화재 탐방 2025.02.05

전남 해남. 장흥임씨. 운곡사(雲谷祠)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22호.

해남. 운곡사(雲谷祠) 전경. *해남에 자리한 장흥임씨 사우(祠宇) 소유: 장흥임씨 문숙공파.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22호. (2011년 12월 29일 지정) *주소: 전남 해남군 계곡면 신기리길 42-46. (당산리 678번지) 해남 영모당(永慕堂)은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운곡사(雲谷祠) 내에 있는 장흥임씨(長興任氏) 사우(祠宇)이다. 2011년 12월 29일 해남군의 향토유적 제22호로 지정되었다. 운곡사(雲谷祠)는 1946년 장흥 예양사(汭陽祠)에서 분단된 장흥임씨(長興任氏) 사우(祠宇)이다. 이 중 영모당(永慕堂)으로 이름을 붙인 이 건물은 서기 1918년 옛 사우를 중수한 것으로 건물은 목조기와 건물 4채를 세로로 배치하였고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옆면은 팔자 모양이고 팔작지붕..

문화재 탐방 2023.12.19

전남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永慕堂)

영모당 입구에 세워진 해남윤씨천(海南尹氏阡) 표지석. 해남윤씨 영모당 안내표지판. 최근에 건립된 해남윤씨 충혼탑. 해남윤씨 충혼탑. 해남윤씨 충혼탑을 세우며... 충혼탑 건립 헌성금록. 해남윤씨 영모당(海南尹氏 永慕堂) 전경.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28호. (1990년 02월 24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해강로 577-36 (계라리 707) 해남윤씨 문중의 제각(祭閣)으로 조선 숙종 13년(1687)에 지은 것이다. 해남윤씨의 묘소가 모여 있는 곳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며, 윤광전· 윤단봉· 윤단학 3부자를 제향하고 있다. 순조 12년(1812)에 일부 보수하였고, 최초의 건물은 1970년대에 보수하였다. 영모당, 행랑채, 바깥 행랑채 등 제례에 필요한 기능을 충족시켜줄 건물을..

발길을 따라 2021.12.13

전남 강진. 해남윤씨. 윤복 신도비.

윤복 신도비(尹復 神道碑) 입로석. 전라남도 기념물 제203호. (2002년 4월 19일 지정) *주소: 전남 강진군 도암면 용흥리 산23-23번지. 이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행당 윤복(1512∼1577)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윤복은 전남 해남에서 윤효정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중종 33년(1538) 문과에 급제해 성균관 학유, 전적, 예조정랑, 사헌부 장령, 승정원 좌부승지 등을 지냈고 외직으로는 부안현감, 광주목사, 안동대도호부사 등을 지냈다. 그는 학문이 깊었고 곧은 성품으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호남사림의 한 축을 형성한 인물로서 관인의 생활사 자료를 기록 『전라도도사시일록(全羅道都事時日錄)』,『은대일록(銀臺日錄)』으로 남기기도 하였다. 특히 안동도호부사로 재임시 퇴계선..

문화재 탐방 2021.12.10

전남 강진. 남평문씨. 상곡사(上谷祠)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1호.

강진 상곡사(上谷祠)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11호.(2004년 11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남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625 (척동길 93)   상곡사는 작천면 용상리 척동마을에 있는데, 남평인(南平人) 도암 문옹(文雍:1425~1494), 사재 문빈(文彬: 1441~1506), 월파 문구연(文九淵:1458~1519) 선생 등의 충효와 도학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1858년(철종 9)에 사림들이 창건하여 문옹, 문빈, 문구연 세분의 선생을 배향하고 있다. 문빈(16世)과 문구연(17世)은 문옹(15世) 선생의 아들과 손자이다. 선생들이 출생한 곳은 현재의 화순 능주이며 강학하신 곳도 능주이다. 그러나 후손이 많이 살고 있는 작천에 사우를 짓고 태수 심찬에게 사우 이름을 부탁하여 상곡이라 하였다. 사..

문화재 탐방 2021.04.02

전북 정읍. 성황산 송정(松亭) 전북 문화재자료 제133호.

송정(松亭)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1990년 6월 30일 지정)   송정(松亭)은 7광(狂), 10현(賢)들이 모여 자연을 벗삼아 시(詩)를 지어 읊으며 즐기던 곳이다.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4번지.     송정(松亭) 현액.  송정(松亭)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는 건축물이다. 1990년 6월 30일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133호로 지정되었다.  성황산 동쪽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송정(松亭)은 1617년(광해군 9) 광해군의 폐모사건(인목대비)에 항의한 속칭 7광(七狂) 10현(賢)들이 뜻을 이루지 못하자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모여 세월을 보내던 곳이라 한다. 1899년 이들 후손들이 영당을 세우고 1년에 2번 제사를 받드는데, 7광(七狂)이라 함은 월봉(月..

문화재 탐방 2019.12.11

전북 고창. 도암서원(道巖書院)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

도암서원 홍살문.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2005년 6월 17일 지정.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리 819-1 (갑촌길 20)    도암서원 외삼문.  도암서원은 1613년(광해군 5)에 향중 유림이 김질(金質, 1496∼1555)의 효성과 학문을 기리어 그가 살던 집터인 영모당(永慕堂)에 사우를 세우고 배향하였는데, 후에 서원으로 발전하였다. 2005년 6월 17일에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로 지정되었다. 1835년(헌종 1)에 정유재란과 이괄의 난 때에 의병을 일으킨 증손 은송당(은松堂) 김경철(金景哲)을 추배하였다.  1857년(철종 8)에는 김경철의 아우로 병자호란 때에 의병을 일으킨 현무재(賢武齋) 김익철(金益哲)을 추배하였다.  1868년(고종 5)에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4..

문화재 탐방 2019.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