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전시관 4

전남 영광. 내산서원(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내산서원 주차장과 홍살문.  영광 내산서원 (靈光 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1977.10.20)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姜沆: 1567∼1618)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선생은 진주강씨 사숙재 강희맹 선생의 5대손이다.  *주소: 전남 영광군 불갑면 강항로 101 (쌍운리 203)   *내산서원은 일반적인 서원보다 면적이 매우 넓어 홍살문에서 내산서원 강당까지는 상당한 거리이다.  수은(睡隱) 강항(姜沆) 선생  동상.  내산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姜沆: 1567∼1618)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강항은 공조좌랑과 형조좌랑에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일본에 있으면서 그 나라의 역사, 지리 등..

문화재 탐방 2024.06.10

전남 보성. 충선공 문익점 부조묘. 전남 유형문화재 제165호.

충선공 문익점 부조묘 입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전남 보성군 미력면 도개2길 21.  문익점 부조묘에 소장된 문서로서 국가에 공이 있는 인물의 후손들이 자신들의 처우를 확보하기 위해 만든 문서와 국가로부터 받은 문서들이다.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사당에 영구히 제사 지내게 하는 특전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와 같이 그 후손에 대해 여러 가지 특전과 혜택이 주어졌다. 여기 문익점 부조묘와 관련된 문서들은 조선 후기(18세기 말∼19세기 말)에 한정된 각종 증명서들이다. 현존하는 문서는 다음과 같다. ①견관도제문(1787년)②수교(1811년)-8면③절목1(1833년)④절목2(1833년)-4면⑤절목3(1835년)⑥절목4(1845년)-7면⑦계하사목(1836년)⑧종중완문(1841..

문화재 탐방 2016.03.21

전남 영암. 김극희장군 사당 충효사

충효사 입로석. 국가지정 문화재 제209호.  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산2.    충효사는 전남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에 조성된 김극희 장군의 묘소와 유물을 간직한 곳으로 국가지정 문화재 제209호로 지정되었고 임진왜란 때 이순신장군을 도와 한산도 대첩과 명랑대첩에서 큰 전공을 세우고 순국하신 김극희(金克禧)장군(1532~1598)과 그의 아들 김함(金涵)장군의 사우와 묘역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 참조 / 영암군 홈페이지 -   홍살문.   정의문(正義門) 외삼문.   충효사 안내문.   행원당(行源堂)   성인문(成仁門) 내삼문.   충효사 묘정비.   충효사 사당.   유물전시관.   충효사 권역 안내도.   김극희 장군 묘소.   김극희 장군 묘소에서 내려다 본 영암 학산면 들녘. 아래쪽으로 ..

문화재 탐방 2015.02.23

전남 영광. 내산서원(內山書院)

수은(睡隱) 강항(姜沆)선생  동상. 내산서원(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전남 영광군 불갑면 쌍운리 22-2번지.  내산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姜沆:1567∼1618)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강항(姜沆)선생은 공조좌랑과 형조좌랑에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일본에 있으면서 그 나라의 역사, 지리 등을 알아내어 고국으로 보내기도 하면서 일본에는 성리학을 전하였다. 선조 33년(1600) 귀국한 후 벼슬을 사양하고 독서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이 서원은 인조 13년(1635)에 나라에서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을 내려주었고 숙종 28년(1702)에 고쳐 세웠다. 일제시대 때에도 고쳐지었는데 그 뒤로도 여러 차..

문화재 탐방 201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