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복 3

전남 장성. 경주이씨. 가산서원(佳山書院) 이제현, 이항복 배향.

가산서원으로 들어가는 길목.   익재영정(가산사 소장 익재영정)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64호)    *주소: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영장로 2015 (홍정리 236)   가산서원(佳山書院)은 고려 후기 문신 익재 이제현(1287∼1367)과 이제현의 8대손인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 백사 이항복(1556~1618)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연산군 4년(1498) 이제현의 5대손인 장수 현감 이재인(1415~?)이 현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주산리 백산촌에 집을 짓고 은거하면서 익재의 영정을 모셨고, 1559년 후손 이대정이 사우 백산사를 지어 익재의 제사를 모셨다.  세월이 흘러 사우가 퇴락하자 영조 42년(1766) 후손 이언경이 낭월산 남쪽 기슭의 현 위치(장성군 삼서면 홍정리 가산마을)로 ..

문화재 탐방 2024.12.30

전남 강진. 경주이씨. 구곡사(龜谷祠) 전남 유형문화재 제189호.

강진. 구곡사(龜谷祠)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9호.(1995년 12월 26일)   다녀온 날: 2017년 12월 10일.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곡길 31 (구수리 895)   강진 구곡사 전경. 구곡사는 정문이 굳게 잠겨 있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 담장너머에서 촬영을 했다.   구곡사(龜谷祠)는 익재 이제현(1287∼1367)과 백사 이항복(1556∼1618)의 영정이 모셔져 두 분을 제사지내 온 사당이다.  구곡사에 소장된 두 영정은 필자나 제작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으나 모두 18세기 이후에 추화된 이모작품으로 생각된다.  구곡사에 모셔진 두 영정 가운데 여말선초의 인물인 이제현의 영정에서는 여말 초상화의 한 유형을, 임진왜란 때의 공신인 이항복의 영정은 17세기 전반의 전형적인 공신도상의..

문화재 탐방 201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