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묘후학 3

전남 영광. 영광향교(靈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

영광향교 만화루(萬化樓) 만화루는 향교 입구 마을의 쉼터 역할을 하고 있다.  영광향교(靈光鄕校)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1985.02.25)  *주소: 전남 영광군 영광읍 교촌리 393  (향교길 32)   향교는 본시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지어진 영광향교는 선조 15년(1582)에 수리되었다.  임진왜란(1592)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복원하였으며, 현재의 건물들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있다.  앞쪽에 대성전을 중심으로한 제사공간을 두고, 뒤쪽에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두고 있어, 향교 배치..

문화재 탐방 2024.07.24

전남 나주.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28호.

나주향교(羅州鄕校)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1985.02.25)  전남 나주시 교동 32-1번지.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나주향교는 태조 7년(1398)에 지었으며, 내부에 계성사라는 사당이 있는데 이곳에는 공자 아버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로 인해 향교의 배치방법이 다른 향교와 다르다.  대부분 명륜당을 중심으로 한 배움의 공간을 앞에 두고, 뒤에 제사공간이 있는 전학후묘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계성사가 있기 때문에 대성전과 명륜당의 위치가 바뀐 전묘후학을 따르고 있다. 호남지방의 향교 중 계성사가 있던 다른 향교는 전주향교와 함평향교 등이 있다.  나주향교의 대성전은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갖춘 건물..

문화재 탐방 2017.02.25

전남 함평. 함평향교(咸平鄕校) 전남 유형문화재 제113호.

함평향교. 함평향교(咸平鄕校)전남 유형문화재 제113호.전남 함평군 대동면 향교리 590번지. 함평 향교도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로 조선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데 건립경위나 내용은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어 축조된 연대도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원래는 함평읍 내교리 외대화에 있었는데 정유재란(1597)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선조 32년(1599)에 초가집으로 다시 지었으나 위치가 좋지 않다고 해서 인조 3년(1625)에 현 위치로 옮겼다. 지금의 건물들은 근래에까지 여러 차례 수리한 건물이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내삼문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향교의 건물배치는 평지일 경우 제사공간이 배움의 공간 앞에 오는 전묘후학의 형식을 따르며, 경사지일 경우 배움의 공간이 앞..

문화재 탐방 201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