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충사 5

전남 화순. 포충사지(褒忠祠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0호.

포충사지 출입문.   포충사지(褒忠祠址)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60호.(2013.12.12.)  *소재지: 전남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15-9. *포충사 위치는 죽수서원 바로 뒤편에 자리하고 있어 일단 죽수서원에 들리면 뒤쪽 협문을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다.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전라우 의병장으로 각지에서 뛰어난 전공을 거두고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순절한 최경회(1532~1593)를 제향한 사우이다. 처음 사우가 건립된 년대는 1609년이고 1611년 사액되었다.  1630년(인조 8)에는 최경회와 함께 창의하여 큰 공을 세우고 진주성에서 순절했던 문홍헌(?~1593)을 배향하였다. 20여년이 지난 1655년(효종 6)에 도내 사림의 발의로 을묘왜변(1555년, 명종 10) 때 달랑진에서 순절한 ..

문화재 탐방 2025.02.14

광주광역시 남구. 제봉 고경명 사우. 포충사(褒忠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포충사(褒忠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褒忠祠)는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高敬命, 1533~1592) · 종후(從厚, 1554~1593) · 인후(因厚, 1561~1592)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1554~1592) · 안영(安瑛, 1564~1592)을 모신 곳이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헐리지 않았던 전남지역 2대 서원 中 하나이다. 이 건물은 왜란 후 호남유생들이 충의로운 인물을 기리고자 세웠는데 1603년 고경명의 후손과 제자인 박지효(朴之孝) 등이 임금에게 청하여 '포충(褒忠)'이라는 이름을 받았다.1980년에 새로운 사당과 유물전시관(正氣館) · 내외삼문 · ..

문화재 탐방 2024.12.09

전남 장흥. 보성선씨. 포충사(褒忠祠)

보성선씨(寶城宣氏) 포충사(褒忠祠) *주소: 전남 장흥군 안양면 요곡길 65-90 (운흥리 5) 포충사(褒忠祠) 안양면의 진산 사자산(666m)의 동쪽 낙맥 중에 하나인 칼바위산(劍岩山 500m) 아래에는 선인봉(220m)을 따라 옥녀봉(160m)이 형성되어 있다. 옥녀봉 요치(蓼峙) 아래에 세거(世居)한 보성선씨(寶城宣氏)는 1530년(?)경에 7세(七世) 양진당(養眞堂) 선대륜(宣大倫: 1504~1568)이 보성에서 안양면 동촌(비동)마을로 입촌하여 장흥파 파조(派祖)가 된다. 배(配) 광산김씨(光山金氏) 사이에서 아들 세분을 두었다. 장자(長子)는 선봉명(宣鳳鳴 1532~ 1593)으로 후손들은 안양면 고당마을 출신이다. 차자(次子)는 선봉문(宣鳳聞 1537~1610)이고, 후손들은 안양면 요곡·장..

발길을 따라 2024.04.03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사(褒忠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포충사(褒忠祠) 입구.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褒忠祠)는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高敬命, 1533~1592) · 종후(從厚, 1554~1593) · 인후(因厚, 1561~1592)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1554~1592) · 안영(安瑛, 1564~1592)을 모신 곳이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헐리지 않았던 전남지역 2대 서원 中 하나이다. 이 건물은 왜란 후 호남유생들이 충의로운 인물을 기리고자 세웠는데 1603년 고경명의 후손과 제자인 박지효(朴之孝) 등이 임금에게 청하여 '포충(褒忠)'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1980년에 새로운 사당과 유물전시관(正氣館) · 내외삼문 · 정화..

문화재 탐방 2022.01.07

광주광역시 남구. 의병장 고경명 선생과 포충사(褒忠祠)

포충사(褒忠祠) 입구.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褒忠祠)는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錦山)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高敬命, 1533~1592) · 종후(從厚, 1554~1593) · 인후(因厚, 1561~1592)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1554~1592) · 안영(安瑛, 1564~1592)을 모신 곳이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헐리지 않았던 전남지역 2대 서원 中 하나이다. 이 건물은 왜란 후 호남유생들이 충의로운 인물을 기리고자 세웠는데 1603년 고경명의 후손과 제자인 박지효(朴之孝) 등이 임금에게 청하여 '포충(褒忠)'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1980년에 새로운 사당과 유물전시관(正氣館) · 내외삼문 · 정화비 및 관..

문화재 탐방 2015.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