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정씨 2

전남 무안. 충효사(忠孝祠) 향토문화유산 제4호.

무안. 충효사(忠孝祠) 향토문화유산 제4호.  무안군 당국의 관리부실인지 아니면 주민들의 무관심에 비롯된 것인지 향토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된 충효사 삼문 앞이 농업용구와 쓰레기로 볼성사납게 되어있다.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저동길 57-14 (연리 539-1)   충효사. 충효사(忠孝祠)는 1906년(고종10)에 운남면 주변의 김(金), 기(奇), 정(鄭), 이(李)씨의 4성 6인이 선대의 충효사상을 기리기 위하여 창건되었으며, 김숭조와 임난공신(壬亂功臣)인 충렬공 정기린 등 그 충신과 기응세, 김상경, 정시철, 김필홍, 김성태, 이이주 등 일곱 명의 효자를 배향하고 있다. 9인의 단비를 세운 후 1917년과 1921년에 개수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1981년에 사우(祠宇)로 개축(改築)한 것이다.  ..

문화재 탐방 2018.09.05

전남 해남. 정운 충신각(鄭運 忠臣閣) 전남 기념물 제76호.

정운 충신각 입비(鄭運 忠臣閣 立碑) 전라남도 기념물 제76호.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 산 19.   임진왜란 때 충신인 충장공 정운 장군의 공(功)을 기리기 위해 세운 각(閣)이다. 충장공 정운 장군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 3년(1570)에 과거에 급제하여 웅천현감 등을 지냈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큰공을 세웠으며 9월 부산포해전에서 전사하였다. 이 각(閣)은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정충보국의 사적 입석.   하동 정씨 직장공파에서 세운 정충보국의 사적 입석 후면.   정운 충신각 입구.   정운 충신각 안내문.   충절사(忠節祠)   충절사 내부. 입구에 문..

문화재 탐방 201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