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이씨 21

전남 영광. 함평이씨. 남강사(南岡祠)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숙연문(肅然門)   남강사 유허비(南岡祠 遺遺墟) 영광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2020년 1월 30일) *관리: 함평이씨 남강사 대표 이생중  *소재지: 전남 영광군 대마면 동삼로 9길 27.   남강사 유허비(南岡祠 遺遺墟)는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 남강사에 있는 유허비이다.  2020년 1월 30일 영광군의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었다. 남강사는 죽음 이만영 등 5위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로, 남강사, 숙연문, 숭절당, 정절문 등이 있다.  1741년 이만영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됐다가, 1763년 철폐된 후 1805년 현 소재지에 사우를 이건하였고, 1868년 훼철된 후 1928년 복설하였다. 남강사 유허비는 1897년 훼철된 사우의 터에 건립됐으며, 정면에 남강 삼선생 사우 유허(南..

문화재 탐방 2024.07.10

전남 영광. 정유재란 열부순절지(丁酉再亂 烈婦殉節地)

정유재란 열부순절지 비각.丁酉再亂 烈婦殉節地 碑閣. 전라남도 기념물 제23호.(1976.09.30)   *소재지: 전남 영광군 해안로 847-8 (대신리 818-3)  정유재란 열부순절지 비각.丁酉再亂 烈婦殉節地 碑閣.  영광 정유재란 열부순절지 안내문.  함평군 월야면에 살던 동래정씨· 진주정씨 두 문중의 아홉 부인들이 정유재란(1597) 때에 왜적을 피해 영광군 묵방포까지 피신하였다가, 왜군을 만나서 의롭게 죽을 것을 결심하고 모두가 바다에 몸을 던져 순절한 곳이다. 아홉 부인들이 죽음으로 정절을 지킨 것을 기리기 위하여 숙종 7년(1681) 이곳에 순절비를 세웠다.  - 우리 지역 문화재 -  정유재란 열부순절지 비각.丁酉再亂 烈婦殉節地 碑閣.  비각은 팔각의 돌기둥 4개를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

문화재 탐방 2024.07.05

전남 함평. 함풍이씨. 함풍부원군 묘원 & 영풍사

함풍부원군 묘원. *註: 함풍이씨와 함평이씨는 근본은 동일한데 함평이씨는 언(彦) 할아버지를 시조로 모시고 世係를 이어가고 있으며 함풍이씨는 시조 언 할아버지로 부터 5世인 함풍부원군 광봉(光逢) 할아버지를 시조로 모시며 한쪽은 함평이씨, 또 한쪽은 함풍이씨로 칭하며 양분되어있다. *함풍이씨 측의 주장은 함평이씨 시조 언(彦) 할아버지는 실존한 실록이 없으나 함풍이씨의 시조로 모신 광봉(光逢) 할아버지는 고려 실록에 등재되어 있는 실존인물이기에 광봉(光逢) 할아버지를 함풍이씨 시조로 모시고 함평이씨와 별도로 사당과 세일제를 따로 두고 행하고 있다. *함평이씨 시조산은 전남 함평군 함평읍 성남리 794번지(함장로 661)에 있다. *본 블로그 함평이씨 시조산 참조. *주소: 전남 함평군 함평읍 만흥리 21..

발길을 따라 2023.11.06

전남 함평. 함평이씨. 월산사(月山祠) 함평군 제1호 향토문화유산

월산사(月山祠)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칠실 이덕일 장군을 제향하는 사우. 함평군 제1호 향토문화유산 (2020,11,27) *주소: 전남 함평군 대동면 학동로 438-13. 함평군 제1호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대동면 월산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칠실 이덕일 장군을 제향하는 곳이다. 1712년(숙종 38년) 이덕일의 사당이 대동면 학동마을에 건립되면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당 1동과 서재, 강당, 유허비 등으로 이뤄져 있다. 월산사는 함평이씨 17世인 칠실 이덕일 장군(손무 현감공파)을 제향(祭享)하는 사우입니다. 이덕일 장군께서는 1594년 무과에 급제 후 귀향하여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향군을 모아 곳곳에서 왜군을 맞아 승리를 이끌었습니다. 이런 공로를 인정하여 이순신 장군이 이덕일 장군..

문화재 탐방 2023.11.03

전남 함평. 함평이씨. 이건풍 가옥 *효우공파 만호공 종가(宗家)

이건풍 가옥(李建豊 家屋) 함평이씨(咸平李氏) 효우공파 만호공 종가(宗家)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1호. (2004년 2월 13일) *주소: 전남 함평군 나산면 사산길 50-6 (초포리 659-1) 전남 불갑산에서 흘러내리는 함평 해보천이 고막원천으로 합류하는 곳인 나산면 초포리 넓은 들 한복판에는 사산마을이 있으며 함평이씨 시조를 추모하는 사산사(射山祠)가 있다. 이곳 사산마을은 함평이씨 집성촌이며 조선 초기 건축형태로서 ㄷ자형 팔작지붕을 그대로 간직한 ‘함평 이건풍 가옥’이 있다. 함평 이건풍 가옥(咸平 李建豊 家屋)은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초포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04년 2월 13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51호로 지정되었다. 이 마을에 입향한 이순지(李舜枝)의 종가로 그 후손..

문화재 탐방 2023.10.27

전남 함평. 함평이씨. 사산사(射山祠) *시조 배향 사우.

사산사(射山祠) 함평이씨 시조(始祖) 언(彦)이 배향(配享)된 사우. *주소: 전남 함평군 나산면 사산길 38-35 (초포리 733-3) 함평이씨의 시조인 언(彦)은 고려 태조가 나라를 건국할 때 참여하여 벼슬이 신무위대장군에 올라 함풍군의 군호를 받고 함평이씨를 창성했으며, 이로 인해 함평 고을은 함평이씨의 발상지가 됐다. 함평군 나산면 초포리 사산마을에 있는 사산사(射山祠) 사우는 1670년 서원으로 창건되었으나 1700년부터 함평이씨 시조 (언:彦)를 비롯하여 7대에 걸쳐 사셨던 터에 지은 재실(齋室)로서 시조 (언:彦) 할아버지를 비롯하여 10世 춘수, 11世 기성군, 효우공, 함성군, 참판공, 현령공 할아버지 제사를 매년 음력 2월 중정일에 향교에서 유림과 자손이 제사를 모시는 향사우로 지내 왔..

발길을 따라 2023.10.25

전남 나주. 함평이씨. 석관정(石串亭)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石串歸帆) 표석비. 함평이씨 정자. *주소: 전남 나주시 다시면 석관로 578 (동당리 845) 영산강 제3경 석관귀범(石串歸帆) 황포돛배와 영산강 절경을 볼 수 있는 석관정. 영산강 물줄기가 죽산보를 지나 더 내려가면 영산강과 고막천이 합류하는 곳에 석관정(石串亭)이 있다. 석관이란 바위가 뛰어나온 돌곶을 한자어로 표현한 말이다. 석관정 아래 이별바위가 있고 이곳에서 전쟁 때마다 장정들을 실어 날랐다고 한다. 남편이나 연인을 따라왔다가 넓어진 강을 더 이상 건너지 못하고 이별하거나 강물에 투신했던 슬픈 역사를 안고 있다. 동당리 석관정에서 바라다 보이는 강 건너편이 바로 금강정이 있는 공산면 신곡리다. 조선시대에는 동당리와 강건너 신곡리를 오고가는 나루가 있었는데, 이를 '석관정..

발길을 따라 202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