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곡정사 2

전북 고창. 고흥유씨. 탄운정(灘雲亭)

고흥유씨. 탄운정(灘雲亭)   *소재지: 전북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 776-1.   탄운정(灘雲亭)은 전북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 사계마을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정자(亭子) 주인 탄운(灘雲) 유춘석(柳春錫 1879~1955)이 만년에 휴양하기 위해 세운 정자로 1954년 둘째 아들 유제풍(柳齊豊)이 부친을 위해 건립하였다. 정자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전면을 툇마루로 짠 함각집으로, 상태가 양호해 지금도 마을 사람들의 휴식처로 사용되고 있다. 기문(記文)은 1924년에 건립한 현곡정사(玄谷精舍) 주인 유학자(儒學者) 현곡(玄谷) 유영선(柳永善 1893~1961)이 쓰고, 정내(亭內)에는 많은 詩文이 걸려있다. 유춘석은 선친인 사천(沙川) 치선(致善)으로부터 가학(家學)을 시작으로 고창군 고수면 봉산리 ..

발길을 따라 2024.11.06

전북 고창. 고흥유씨. 현곡정사(玄谷精舍)

현곡정사(玄谷精舍)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1974년 9월 27일)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1길 68-34 (주곡리 333)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에 있는 유영선(柳永善)이 건립한 일제강점기 정사(精舍) 유영선(柳永善)의 본관(本貫)은 고흥(高興), 자(字)는 희경(禧卿), 호(號)는 현곡(玄谷).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高敞) 출생. 아버지는 유기춘(柳基春)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 이병현(李秉賢)의 딸이다.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의 치욕으로, 전우를 따라 서해(西海) 고군산 외딴섬 왕등도(暀嶝島) · 계화도(繼華島) 등지에서 근 20년간 갖은 고초를 극복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였다. 현곡정사는 현곡(玄谷) 유영선..

문화재 탐방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