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전북 부안. 내소사 <경내>

백산(栢山) 2011. 10. 4. 18:00

 

사천왕문.

 

사찰명: 능가산 내소사.

 

소재지: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탐방일 : 2011년 9월 4일(일요일).

 

 

<내소사(來蘇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능가산 내소사.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내소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모든 이 소생하게 하소서" 라는 혜구(惠丘) 두타스님의 원력에 의해 백제 무왕 34년(633)에 창건된 고찰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 중건. 중수를 거듭해 오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절을 조선 인조 11년(1633)에 청민(靑旻)선사가 중창하였으며 웅장하고 아름다운 대웅보전을 중건하였다.

 

그 후 광무 6년(1902) 관해선사와 만허선사의 증축이 있었으며, 내소사의 오늘을 있게 한 해안선사가 1932년 내소사에 자리를 잡고 절 앞에 계명학원을 설립하여 호남불교의 선풍을 진작시켰다. 이후 우암 혜산선사가 선풍을 이어 봉래선원을 신축하고 현재의 대가람을 이루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이 절에 있는 중요문화재로는 고려동종(보물 제277호), 법화경절본사경(보물 제278호), 대웅보전(보물 제291호), 영산회괘불탱화(보물 제1268호)가 있고 그밖에 설선당(說禪堂). 보종각(寶鐘閣). 연래루(蓮萊樓). 3층 석탑 등이 있다.

 

사천왕문.

 

사천왕상

 

사천왕상.

 

불교용품 판매점.

사천왕문을 통과하면 좌측에 자리하고 있다.

 

연등길.

사천왕문을 통과하면 오색찬란한 연등길이 열린다.

 

연등길을 지나면 저만큼 범종각이 눈에 들어온다.

 

군나무<보호수>

군나무 수령이 약 1천년이라고 한다.

 

보호수 표지석.

 

내소사 종무소를 겸하는 보현당

 

보현당 현판.

 

연래루(蓮萊樓)

 

연래루 아래의 돌계단을 통과하여 대웅전으로 가게 되어있다.

 

한국 33 관음성지 제8호로 지정된 내소사 안내문.

 

설선당.

내소사의 설선당과 요사채 당우이다.

 

설선당의 내소사 현판.

 

설선당 무쇠솥.

 

설선당 아궁이.

 

설선당 무쇠솥.

 

내소사 설설당과 요사채 안내문.

 

설선당 현판.

 

설선당 바로 옆에 지장전 건립 만등불사 접수처가 있다. 

 

지장전 건립 만등불사 접수와 더불어 설선다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설선다원 내부.

 

설선다원 내부.

 

설선당 전경.

설선다원 및 만등불사 접수처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

 

범종각.

 

운판과 목어.

 

범종(고려 동종)

 

보종각.

범종각이다.

 

보종각 현판.

보종각에는 고려동종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내소사 고려동종 안내문.

 

보물 제 277호로 지정된 내소사 고려동종임을 알리는 비석.

 

내소사 삼층석탑

 

내소사 삼층석탑 안내문.

 

대웅보전. 보물  제291호.

 

 이 대웅보전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우측에 대세지보살, 좌측에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조선 인조 11년(1633) 청민대사가 절을 고칠 때 지은 것이라 전한다.


 

대웅전 삼존불상.

 좌측: 관세음보살. 중앙: 아미타여래. 우측: 대세지보살.

 

벽안당.

 

벽안당 현판.

 

조사당.

 

조사당.

 

삼성각.

 

삼성각 불상.

 

승려들이 기거하는 당우.

 

감사합니다. ^^*

'한국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강진. 남미륵사  (0) 2012.05.01
전남 함평. 용천사(龍泉寺)  (0) 2012.04.14
전북 부안. 내소사 <진입>  (0) 2011.10.04
경남 합천. 해인사 <경내>  (0) 2011.09.23
경남 합천. 해인사 비림(碑林)  (0) 201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