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활동, 치매 발생 억제.
머리를 많이 쓰는 노인일수록 노인성치매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의 찰스 홀(Charles Hall) 박사는 읽기, 쓰기, 게임하기 등 머리를 쓰는 빈도가 많을수록 치매를 멀리할 수 있다는 사실이 75-86세 노인 488명을 대상으로 5년에 걸쳐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밝혀졌다고 말한 것으로 온라인 의학뉴스 전문지 헬스데이 뉴스가 9일 보도했다.
이들은 조사시작 때는 치매증세를 보이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고 조사기간 중 101명이 치매진단을 받았다.
홀 박사는 이들에게 읽기, 쓰기, 크로스워드 퍼즐, 보드/카드 게임, 그룹토론, 음악연주 등 뇌를 자극하는 6가지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하고 참가횟수와 치매발생 사이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참가횟수가 하루 한 번 추가될수록 급격한 기억력 저하가 평균 0.18년(약2개월)씩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횟수가 1주일에 11회로 가장 많은 사람은 4회로 가장 적은 사람에 비해 치매 발생이 평균 1.29년 지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효과는 참가자들의 교육수준과는 연관이 없었다.
홀 박사는 이러한 인지기능 자극 활동은 특히 기억력이 저하되는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하면서부터 두드러진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히고 이는 이러한 활동이 뇌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의학전문지 '신경학(Neurology)' 8월호에 발표되었다. (서울=연합뉴스)
- 출처: 웹사이트 -
|
'건강한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철 알레르기 증상과 대처법 (0) | 2012.11.07 |
---|---|
물을 자주 마시면 암을 막을 수 있는 이유 (0) | 2012.11.05 |
성인병 예방에 양파 (0) | 2012.10.31 |
성생활의 좋은 점 (0) | 2012.10.30 |
지속 발기증 (0) | 201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