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유적

전남 해남. 전라우수영성지.

백산(栢山) 2014. 8. 21. 13:55

명량대첩비 전경.

 

전남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 955-6.

 

 

충무사를 둘러보고 우수영 성내로 이전됐다는 명량대첩비로 향했다.

문내면 동외리로 옮겨졌다는 명량대첩비를 찾아가는 길은 강강술래길에 속해 있어 이정표가 안내를 해주어 쉽게 찾아 갈 수 있었다.

 

 

명량대첩비 안내문.

 

명량대첩비는 1965년에 보물 503호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5월에 충무사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져 왔다는 내용이며 앞으로 충무사도 옮겨 올 계획이란다.

 

 

명량대첩비 이전 안내문.

 

 

명량대첩비가 원래 있었던 자리.

 

 

명량대첩비 비각.

 

 

명량대첩비.

 

 

관정(管井)

 

명량대첩비에서 우수영 성내 길(강강술래길) 이정표를 좇아 망해루로 향했다. 언덕길을 올라서니 망해루로 올라가는 길목에 설치된 관정이 보이는데 전두환 정부 때 주민들의 식수보급을 위해 설치되었다고 한다.

뒷편에 전라우수영성지 안내판이 보인다.

 

 

전라우수영성지 안내문.

 

 

망해루 이정표.

 

우수영성지 안내판을 지나 오르막 길에 망해루를 알려주는 이정표가 나타난다.

 

 

망해루로 올라가는 나무계단 길.

 

 

망해루 전경.

 

망해루(望海樓)

바다를 바라보는 루각이라는 의미인데 여수 진남관에도 동일한 이름의 망해루(望海樓)가 있다.

이순신장군께서 이 루각에 올라 남해를 바라보며 어떻게 하면 일본왜적을 물리칠 수 있을까 하며 시름에 잠긴 곳은 아닐련지???...

 

 

망해루 안내문.

 

 

망해루(望海樓)

 

 

망해루 편액.

 

 

망해루에서 바라본 남해.

 

나무 숲이 어우러져 남해가 훤히 바라다 보이지는 않으나 그런대로 앞바다가 시원해보인다.

 

 

망해루에서 바라본 우수영 성내.

 

 

방죽샘.

 

이순신 장군께서 우수영에 진을 치고 있을 당시 이 샘물을 사용했을 것 같은데 현재도 샘물은 마르지 않았으나 사용하지 않아서 먹을 수는 없었다.

 

 

방죽샘 안내문.

 

 

법정스님 생가.

 

강강술래길에 속에 있는 법정스님 생가로서 주소는 우수영안길 81-1로 되어있다.

 

 

법정스님 생가 안내문.

 

 

동헌터.

 

동헌터로 추정된다는 구 문내면사무소 자리.

문내면사무소는 신청사로 이전하고 현재 이 건물은 패쇄되어있다.

 

 

동헌터 안내문.

 

 

동헌터(구 문내면사무소)에서 바라본 울돌목과 진도대교.

 

 

해남 우수영항 터미널.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장군께서 명량해전을 치르기 위해 이곳에 진을 치고 있었던 것 같다.

 

 

우수영항 대합실.

 

 

울돌목 거북배 운항표.

 

 

울돌목 거북배.

 

 

일본배 안택선(安宅船) = 아타케부네(あたけぶね)


 

판옥선.

 

 

탐방: 2014년 8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