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포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
관음포 이충무공 점몰유허 안내판.
사적 제232호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비.
이충무공 전적비.
이충무공 전적비 옆면.
전방급 신물언아사(戰方急 愼勿言我死)
"지금 전쟁이 급하니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지 말라"
1998년 12월 16일 이충무공 순국 400주년을 기념하여 당시 유삼남 해군 참모총장이 쓴 유언비.
이락사로 들어서는 길목.
이락사(李落祠)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이락사'라는 액자를 내렸다.
대성운해(大星隕海)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대성운해'라는 액자를 내렸다.
대성운해(大星隕海)란 큰 별이 바다에 잠기다는 뜻이다.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유허비(사적 232호)
비각 안에 세워진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유허비(사적 232호)
이 유허비는 홍문관 대제학 홍석주가 비문을 짓고 형조판서, 예문관 제학 이익희가 썼다.
비각 안에 세워진 유허비와 동일하게 복제된 삼도수군통제사 이충무공 유허비.
이충무공 유적비문.
이락사에서 바라본 이락사 입구.
첨망대로 가는 길 양편으로 늘어선 반송.
첨망대에 이르는 마지막 반송길.
첨망대 안내판.
이내기 끝에 세워진 첨망대.
첨망대에서 바라본 노량해전의 격전지 관음포 일대.
탐방: 2014년 10월 12일.
'이순신 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남해. 이순신 영상관 (0) | 2014.11.01 |
---|---|
경남 남해. 관음포 첨망대에서 (1) | 2014.10.31 |
전남 고흥. 충무사(忠武祠) (1) | 2014.10.23 |
전북 정읍. 유애사(遺愛祠) (1) | 2014.10.22 |
전북 정읍. 충렬사(忠烈祠)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