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찰

전남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백산(栢山) 2014. 12. 15. 12:27

 

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珍島 金骨山 五層石塔)

 
보물: 제529호.  등록일: 1971년 01.08.

 

 


      전남 진도군 군내면 금골길 58 (둔전리)

 

 

진도 관광홈페이지에 금골산 오층석탑이 보물 제 529호로 지정되었기에 직접 답사차 찾아보았다.

해발 196미터 금골산 아래 오층석탑은 고려시대부터 오랜 세월의 풍화작용으로 상당히 마모가 되어 있으나 본연의 모습은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고려시대부터 이곳에 해월사(海月寺)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는데, 그 절에 속했던 석탑으로, 지금 자리한 곳이 원래의 위치로 짐작된다.

 

1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은 4장의 돌로 구성되었으며, 각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두었다.

기단의 맨 윗돌에는 특별한 장식을 하지 않아 두껍고 밋밋하다는 느낌을 주는데, 이러한 양식은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보물 제167호)과 비슷하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기단에 비해 좁고 기형적으로 길고 높은 매우 특이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상당히 넓고 두꺼워 불안정한 느낌을 주며, 각 층 지붕돌의 모습에도 차이가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 또한 1·2·4층은 5단이고, 3층은 4단, 5층은 3단으로 정형화된 양식에서 벗어나 있는 모습이다. 탑의 머리장식부분에는 구슬 모양의 장식만 있을 뿐 다른 부재는 없다.

 

이 탑의 기단부와 1층 몸돌은 매우 길게 조성되어 은선리 삼층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이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을 모방한 백제 양식이 국토의 최남단 섬에까지 퍼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각 부분의 양식이 독특하고 불규칙적인 면이 많아 탑 양식에 지방색이 많이 드러나게 되는 고려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진도군 홈페이지)


 

뒤로 보이는 산이 금골산이다.

 

 

금골산 오층석탑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뒷편에 보이는 건물은 금성초등학교이다.

 

 

오층석탑 부분.

 

 

뒷편으로성초등학교가 보인다.

 

 

오츨 석탑 바로 옆에 안내판에 과거 이 자리가 해원사(또는 해월사) 절터였을 것이라는 설명문이 새겨져 있다.

 

 

해원사 (또는 해월사라고 한다) 절터에 대한 안내문.

 

 

금골산 관광 안내도.

 

금성초등학교 입구 주차장에 세워져 있다.

 

 

답사: 2014년 12월 14일.